[뉴스모음]
K밸류업 무너지나…방어株 은행도 '우수수' 外
이 기사는 2024년 08월 05일 18시 01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밸류업 무너지나…방어株 은행도 '우수수' [디지털타임스]

밸류업 수혜주로 주목받았던 은행주가 급락했다. 이날 코스피는 장중 10% 내리면서 2400선마저 붕괴됐다. 4년 만에 코스피·코스닥 양대 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는 등 어수선한 상황에서 전통적인 방어주로 꼽힌 은행주마저 일제히 하락 마감한 것이다. 5일 하나금융지주는 전거래일 대비 8.55%(5300원) 내린 5만6700원으로 장 마감했다. 전거래일 대비 주가 등락율은 KB금융 -7.69%, BNK금융지주 -7.63%, 우리금융지주 -7.60%, 신한·DGB금융지주 -7.53%, 기업은행 -5.70%, JB금융지주 -4.73% 등을 기록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9.74%)와 지방은행인 제주은행(-10.10%) 역시 하락세다. 증시에 상장된 은행업종 전 종목이 모두 하락한 셈이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지난 2일(현지 시각) 뉴욕증시가 급락하면서 국내 증시에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의 은행주도 상황은 같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4.9%, 웰스파고는 6.4%, JP모건체이스는 4.24% 각각 떨어졌다. 이날 상황은 호실적과 밸류업 기대감으로 신고가 랠리를 펼쳤던 은행주의 주가 부양에 찬물은 끼얹은 것으로 보인다.


시총 192조 증발, 역대 최악 하락... 증시 사상 이런 날은 없었다 [한국일보]

5일 국내 증시 폭락은 역대 최고·최저 기록을 쏟아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19 당시를 넘어선 수준이다.이날 종가 기준 코스피 하락폭은 234.64포인트로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코로나19 공포가 극에 달했던 2020년 3월 19일 마이너스(-)133.56포인트였던 종전 기록을 훌쩍 뛰어넘었다. 역사상 코스피 하락폭이 200포인트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장중엔 289.23포인트까지 떨어지며 이전 장중 기록(2011년 8월 9일, -184.77포인트)을 넘었다.종가 기준 하락률(-8.77%)은 2020년 3월 19일(-8.39%)과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 10월 16일(-9.44%) 사이에 위치해 역대 5위에 올랐다. 역대 최대 코스피 하락률 기록은 미국 9·11 테러 다음 날인 2001년 9월 12일(-12.03%)이었다. 코스피 시가총액은 1,997조7,450억 원으로 올해 1월 22일 이후 196일 만에 시총 2,000조 원 선이 깨졌다. 이날 하루 만에 증발한 시총은 무려 192조 원으로, 기존 역대 최고 기록(2020년 3월 19일, 약 -90조 원)을 2배 이상 넘겼다.


외국인 삼성전자 주식만 6700억원어치 팔았다… 시총 49조원 증발 [조선비즈]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5일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주가가 10% 넘게 폭락했다. 외국인이 하루 동안에만 6700억원어치를 순매도한 영향으로, 시가총액은 49조원이 증발했다. 삼성전자의 급락으로 코스피도 9% 가까이 내렸다. 이날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10.30%(8200원) 내린 7만1400원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 대비 3.89%(3100원) 내린 7만6500원에 출발해 낙폭을 키웠다. 장중 한때 11.81% 급락하며,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10월 24일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시가총액 49조원이 증발했다. 전날 종가 기준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475조원을 넘어섰지만, 이날 426조원대로 떨어졌다. 삼성전자 우선주인 삼성전자우 주가도 이날 9.52% 급락하며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에서만 약 53조원이 증발했다.


`또 결함`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까지 `겹악재` [디지털타임스]

티웨이항공이 안팎으로 시끄럽다. 최근 불거진 '결함 항공사' 오명을 씻어내기도 전에, 또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조짐이 보이면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5분 광주공항에서 출발해 제주공항으로 향하려던 티웨이항공 TW903편이 기체 결함으로 이륙하지 못했다. 티웨이항공은 이륙 시간을 3시간가량 늦추고 긴급 안전 점검에 들어갔다. 앞서 티웨이항공은 안전 투자를 확대하고 안전경영을 확보하겠다고 밝혔지만 발표가 무색할 만큼 올해에만 이미 지연 사태를 수차례 되풀이했다.


엔화 3% 넘게 급등하며 금융시장 흔들어…위안화 동반 강세 [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일본 엔화 가치가 7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하며 아시아 금융시장을 뒤흔들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 엔화는 오후 한때 미 달러화 대비 상승 폭을 3.3%까지 키우면서 141.7엔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1월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엔/달러 환율은 지난달 10일 161.69엔을 기록한 이래 20엔 내려왔다. 엔/달러 환율 하락은 달러 대비 엔화가치 상승을 뜻한다. 일본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이 커지며 '슈퍼엔저'에서 방향을 틀었다. 엔화 가치 급등으로 이날 일본 증시에서 종합주가지수인 토픽스(TOPIX)가 12.2% 떨어지며 1987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하는 등 금융시장은 대혼란 상태에 빠졌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토픽스 선물 거래에 서킷 브레이커(거래 일시 중단)가 발동됐다. 한국 코스피도 8% 넘게 하락하며 종가 기준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대만 가권지수도 8% 넘게 내렸다.


'3차 입찰' 용산 산호아파트 재건축, DL이앤씨 빠지고 롯데건설 '관심' [조선비즈]

서울 용산 한강변에서 재건축을 추진하는 산호아파트가 세 번째 시공사 입찰을 앞둔 가운데 롯데건설이 유력한 시공사 후보로 떠올랐다. 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용산 원효로4가 산호아파트 재건축사업에 올해 하반기부터 롯데건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앞서 수년 전부터 공을 들여 유력 수주 후보로 거론됐던 DL이앤씨는 선별 수주에 나선다는 이유로 산호아파트 재건축에서 발을 뺐다. 올해 상반기 용산 산호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3.3㎡당 830만원의 공사비 예정가로 지난 4월 1일, 6월 10일 두 차례에 걸쳐 시공사 선정 입찰을 시도했지만, 모두 무응찰로 유찰됐다. 이후 롯데건설이 용산 한강변에 롯데건설의 하이엔드 주택 브랜드 '르엘' 깃발을 꼽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용산 산호아파트 재건축사업의 새로운 시공사 후보로 등장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모음 4,097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