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 AI 경쟁력 고도화…"3대 과제 정립"
제72회 정기 주총 개최…보유 사업 수익력 확보 및 AI 방향성‧조직문화 구축 방점
이호정 SK네트웍스 대표가 26일 서울 종로구에 소재한 삼일빌딩에서 열린 SK네트웍스 제7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영업보고를 하고 있다. (제공=SK네트웍스)


[딜사이트 범찬희 기자] SK네트웍스가 AI(인공지능)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한 3대 추진 과제를 설정했다.


26일 SK네트웍스는 제72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AI 중심의 미래 성장 동력을 구체화한다는 구상을 드러냈다.


올해 보유 사업들의 핵심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익력 확보와 함께 ▲AI 중심의 미래 성장동력 구체화 및 AI 성장 방향성과 비전 정립 ▲AI 컴퍼니 비전에 걸맞은 역량과 조직문화 구축을 3대 추진과제를 지정했다. 이를 통해 AI 중심의 사업지주회사로 진화한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재무제표 승인과 이사 선임 등 예정된 안건들은 원안대로 의결됐다. SK네트웍스는 지난해 전년 대비 2.7% 증가한 7조657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1.4% 늘어난 1139억원을 기록했다.


부문별로 보면 SK매직은 고객 수요에 맞는 신제품을 지속 출시하고, 기존 고객의 재계약을 이끌어 준수한 실적을 기록했다. 워커힐은 호텔 객실, 식음료 사업과 대외사업 호조를 바탕으로 실적 상승에 기여했다. 정보통신 사업의 경우 물류 등 비용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을 끌어올렸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AI 기업 피닉스랩은 모듈러 RAG 기술을 적용한 의약학 특화 생성형 AI 제품을 자체 개발해 선보임으로써 향후 RAG 제품 마켓리더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외에도 SK네트웍스는 지난해 SK렌터카를 매각하고 SK스피드메이트와 글로와이드를 물적 분할하는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재무구조 안정성을 강화하고 AI 중심 사업지주회사 체계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최성환 사업총괄 사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하고, 김기동 SK(주) 재무부문장을 기타비상무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두산밥캣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지낸 장근배 한동대 교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안건도 통과됐다.


이호정 대표이사는 "보유 사업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미래 기회가 왔을 때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우량한 재무구조 유지에 힘쓸 것"이라며 "AI를 중심으로 한 미래성장 기반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이해관계자들의 기대에 걸맞은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