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운용 "주주환원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사회·제도·기업 내부 변화, 주주환원 뒷받침…"상속·증여세 제도 개편 병행돼야"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2일 13시 30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기백 한국투자신탁운용 중소가치팀 팀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주주환원 시대, 한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 세미나에서 주주환원 관련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제공=한국투자신탁운용)


[딜사이트 이규연 기자] 한국투자신탁운용이 기업의 주주환원 강화를 통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전망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주식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가치가 실제보다 저평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대기업보다는 중견·중소기업이 주주환원 강화의 수혜를 더욱 크게 입을 것이라는 예상도 함께 내놓았다.


김기백 한국투자신탁운용 중소가치팀 팀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주주환원 시대, 한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 세미나에서 한국의 사회·제도·기업 내부 변화에 따라 주주환원이 확대되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도 해소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팀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으로 불투명한 기업 지배구조에 따른 낮은 주주환원율을 들었다. 자본시장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GCI(기업 지배구조 평가지표) 평가점수는 140개 국가 중 100위권 밖이고 주주환원율도 45개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행동주의 펀드나 소액주주 연대 등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사회적 변화가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김 팀장은 "초기에는 행동주의 펀드 중심으로 가고 중장기적으로는 수익·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 중 주주환원이 낮은 상장사의 주주혼원 증대로 기업가치가 지속해서 제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부 역시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목표로 꺼내드는 등 제도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MSCI는 1969년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주가지수로 글로벌 펀드 자금의 추종 규모가 가장 큰 벤치마크 지수다. 더불어 정부는 배당액을 먼저 확정한 뒤 받을 주주를 결정하는 방식 등으로 배당절차 선진화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26일 세부 내용을 발표할 예정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도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PBR(기업 주가가 기업의 장부상 가치 대비 몇 배로 거래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이 낮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방법을 공시하도록 유도하는 내용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김 팀장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공급자 측면에서 기업에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 등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수요자 측면에서도 배당 관련 세금을 분리과세한다는 말이 있다"며 "이렇게 되면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유인책을 주는 것인 만큼 좋은 방향이고 그런 부분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 팀장은 기업 밸류업의 핵심 키워드는 '저PBR'이 아니라 주주환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주환원을 할 수 있는 저PBR 기업은 주인공이 될 수 있고 주주환원을 할 수 없는 기업은 주가가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며 "주주환원을 강화할 수 있는 기업은 순유동자산 및 수익가치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기업 내부 변화의 예시로는 경영인 세대교체를 제시했다. 그는 "1세대 창업주가 지분을 많이 보유하고 경영권을 행사하는 기업이 많은데 이들의 수명이 70~90대인 만큼 향후 10년 안에 많은 기업의 지배구조가 변화될 것"이라며 "2세대 경영인은 새로운 자금 배분 정책을 추구하면서 주주환원 정책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더해 김 팀장은 주주환원이 강화되면서 대기업보다 중견·중소기업이 더욱 큰 수혜를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기업은 상당수 경영 승계 과정에서 지주사 체제로 전환을 마친 데다 배당성향도 이미 끌어올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중견·중소기업은 경영인 세대교체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김 팀장은 분석했다. 이 경우 2세 경영인으로 경영 승계를 하거나 사모펀드(PEF)에 기업을 팔게 되는데 어느 쪽이든 주주환원 정책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김 팀장은 "경영 승계 과정에서 증여세나 상속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배당을 확대한다면 5~10년 동안 배당성향 증가가 필연적"이라며 "사모펀드에 기업을 팔아도 사모펀드는 기업 인수 이후 안전 마진을 위해 배당을 늘리는 만큼 그 기업을 다시 매각하는 시점까지 배당성향이 확대된다"고 바라봤다. 


한편 김 팀장은 주주환원 확대와 함께 상속·증여세 제도 개편이 이뤄진다면 자본시장 활성화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국내 상속·증여세 금액은 2022년 기준 15조원대로 전체 세금의 3.7% 수준이다. 


김 팀장은 "상속·증여세 부담으로 기업이나 부를 가진 사람이 해외로 많이 떠나고 있는데 그러면 한국 경제가 잘 될 수 없다고 본다"며 "기업이 국내에서 고용을 늘리면서 근로소득세가 늘고 매출 증가에 따라 법인세도 늘어나는 효과가 상속·증여세를 줄이는 효과보다 더욱 크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