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관리 나섰지만…저축銀, 연체율 '9%' 근접
올해 1분기 8.8%, 지난해말 대비 2.25%포인트 상승
이 기사는 2024년 05월 14일 15시 39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주명호 기자]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이 올해 1분기 9%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건전성 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에 따른 업황 악화와 함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위기까지 겹치면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이다. 


다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과거 저축은행 사태와 비교해 연체율이 낮은 수준인 만큼 과도하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약 8.80% 수준으로 파악됐다. 지난해말 기준 6.55%에서 한 분기만에 2.25%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2021년 2.51%, 2022년 3.41%로 매년 상승 속도를 높여왔다.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 자체는 어느정도 예견된 결과다. 주거래대상이 서민층 및 중소상공인인 만큼 경기침체 영향이 금융업권 중 가장 빠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어서다. 여기에 부동산PF에 따른 부실 위기이 더해진 것이 연체율 상승 속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지방 저축은행의 경우 연체율이 더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미 일부 지방 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8%대 연체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앞서 정무위원회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광주·전남·전북업권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8.1%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균 상승치를 감안하면 10%대 연체율을 기록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연체율 급등은 부실에 대한 신호탄으로 읽힐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위험수준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와 비교하면 연체율 수준이 여전히 낮다는 이유에서다. 저축은행 사태 이후 구조조정이 이뤄졌던 2011년 6월말 당시 업계 연체율은 27.0%까지 치솟은 바 있다.


대손충당금 확대 및 자본확충 등 개별사별로 건전성 관리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도 당장 위기설을 일축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업계 전체적인 실적이 크게 악화된 만큼 현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부실 위험성은 커질 수 있다. 


그런 만큼 저축은행들은 업계 차원에서 부실채권 정리를 통한 연체율 관리를 지속할 방침이다. 우선 업계 자체적으로 2차 부동산PF 정상화펀드를 조성해 운용을 개시한다. 펀드 규모는 약 2000억원 수준이다. 이와 함께 저축은행이 보유한 2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하기로 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