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기평 압박"…VC 민원 대통령 들여다본다
국정기획위 거래소 기술특례상장 심사 기준 안건 상정해 비공개 회의 진행
이 기사는 2025년 07월 10일 08시 29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 (사진=뉴스1)


[딜사이트 노만영 기자] 한국거래소가 올초 개정한 기술성 평가 전문평가기관 운영지침이 시행 반년 만에 재검토에 들어갔다. 기술특례상장과 관련해 한국거래소와 벤처캐피탈(VC) 업계의 입장차를 대통령실이 조율할 거란 예상도 나온다. VC들은 개정안이 기술성 평가의 왜곡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면적인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원회는 한국거래소의 기술특례상장 심사 기준을 심의 안건으로 상정하고 제도 개선을 전제로 한 비공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성격의 조직으로 새 정부의 정책 전반을 구상한다. 정치, 경제, 사회, 외교 등 각 영역에서 총 7개 분과를 조직해 운영 중인 가운데 벤처정책은 경제2 분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국가기획위가 한국거래소의 기술성평가 운영지침을 직접 검토하고 나선 건 이에 대한 벤처캐피탈 업계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한국거래소는 최근 기평 전문평가기관을 구조적으로 재정비하려는 분위기다. 기존 25곳 수준의 전문평가기관이 기술성 평가의 독립성을 보장 받았지만 거래소 입장에서는 숫자가 많아 관리가 수월하지 않고, 사각지대에서는 허술한 평가가 나올 수도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개편안에 따라서는 평가 기관들이 성과에 따라 3개 등급으로 구분되며 한편 하위 등급에 속한 기관 중 일부는 평가기관 풀(Pool)에서 배제될 것으로 보인다. 


거래소의 조치는 전문평가기관에 대한 기강잡기 차원이라는 볼멘 목소리가 나온다. 파두 사태 당시 평가보고서에 허점이 발견되면서 전문평가기관의 위상이 실추된 만큼 예비심사접수에 앞서 기술성평가 단계에서의 철저한 검증이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반면 VC업계는 이번 조치가 전문평가기관의 자율성을 훼손해 객관적인 평가가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전문기관이 거래소의 퇴출 조치를 우려해 과도하게 보수적인 잣대를 들이밀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 업계의 우려는 기우에 그치지 않았다. 지난 1월 피노바이오가 기술성평가에서 BBB/BBB 등급으로 탈락했는데 이 회사는 1년 전 AA/BBB 등급을 받아 기평을 통과했다. 피노바이오는 과거 기평 통과 당시 자체개발한 플랫폼으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 2022년 셀트리론에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을 1조 6000억원에 기술이전했으며 셀트리온이 이 플랫폼을 추가 개발해 미국 콘쥬게이트바이오에 기술이전했다는 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올 상반기 거래소의 전문평가기관 운영안 개편 등의 영향으로 벤처기업들의 기술특례상장 신청 건수는 크게 감소했다. 상반기 코스닥 특례상장 예비심사 청구 건수가 21건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32건보다 34% 가량 감소했다.


VC 관계자들은 거래소가 복지부동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 관계자는 "거래소 내부에서 기술특례상장 통과 건수를 줄이고자 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며 "거래소로 청구되는 기평 예심건수를 줄이기 위해 전문평가기관들을 불러모아 기준을 강화할 것을 압박했다"고 귀띔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