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구조조정설, 술렁이는 건설업계
수주잔고 가장 많고 재무구조도 건실…신규수주 감소 ‘불안요인’

[딜사이트 이상균 기자] 현대건설이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건설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진위 여부를 떠나 건설업계에서 수주잔고가 가장 많고 재무구조가 가장 우량한 현대건설의 구조조정 가능성이 거론된다는 점에 대해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많다. 해외 플랜트에서 시작한 인력 구조조정이 최근 토목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현대건설 해외공사 관리 능력 ‘우수’


건설업계는 다른 곳도 아닌 현대건설의 구조조정설에 대해 “국내 대부분의 건설사가 언제든지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 악화 일로로 치닫는 국내 건설시장의 현주소를 반영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대건설은 올해 시공능력 평가 기준 2위 업체다. 시공능력 평가액이 13조원에 달한다. 국내 건설사 중 평가액이 10조원을 넘는 곳은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두 곳뿐이다.


회사 규모뿐만 아니라 재무건전성도 업계 최고 수준이다. 부채비율이 116.4%에 불과하다. 유동비율은 193.5%로 가장 이상적인 비율이라는 200%가 코앞이다. 자기자본비율도 46.2%로 적정수준(50%)과 큰 차이가 없다.


최근 실적 증가세가 주춤하긴 하지만 수익성도 최상위권이다. 2015년과 2016년 2년 연속으로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했다. 영업이익률도 꾸준히 5% 이상을 기록 중이다. 올해 3분기 기준 5.5%다.


외부에서 현대건설을 바라보는 시각도 비교적 우호적이다. 신용등급은 AA-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박동욱 대표가 현대건설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부임한 이후 현대건설의 리스크 관리 능력과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됐다는 평이 많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우량한 재무구조를 앞세워 외부 조달금리를 최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며 “현대건설은 대형 건설사로는 드물게 해외부실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신용평가업계에서도 현대건설의 해외공사 관리 능력을 높게 평가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4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현대건설의 해외공사 원가관리능력을 ‘우수’로 평가했다. 당시 SK건설도 우수 평가를 받았다. 대림산업GS건설은 ‘보통’, 대우건설과 포스코건설, 한화건설은 ‘미흡’ 평가를 내렸다.


◆주택사업 대안 못 찾아…선제적 리스크 관리 가능성


현대건설이 구조조정을 진행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현대건설 측도 “구조조정설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향후 실적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하는 수주잔고가 충분히 쌓여있다는 점이 구조조정의 가능성을 낮춰주고 있다. 현대건설 수주잔고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70조 3858억원으로 업계 1위다. 2위인 GS건설(37조 7920억원)과의 격차가 30조원 이상이다. 심지어 자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의 수주잔고(29조 7065억원)를 제외해도 선두 수성에 문제가 없다.



다만 신규 수주가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는 점이 불안요소다. 현대건설의 올해 3분기까지 신규 수주는 15조 9904억원으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올해 목표치인 23조 9000억원의 66.9% 수준이다. 올해 사업목표로 해외 신규수주를 늘리겠다고 공언한 것과 달리 해외 신규수주액은 6조 6591억원(41.6%)으로 국내 신규수주(9조 3313억원)보다 2조 7000억원 이상 적다.


건설업계에서는 현대건설의 구조조정설은 미래 전망을 어둡게 보고 선제적인 차원에서 리스크 관리를 하겠다는 의지가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는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주력인 주택사업도 하향세로 접어들 것이 분명한데 그 이전에 이를 만회할만한 새로운 사업을 찾아야 하는 것이 대형 건설사들의 숙제”라며 “결국 해외사업에서 답을 찾아야 하지만 현대건설뿐만 아니라 대부분 건설사의 해외 신규수주는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일단 인력 구조조정 등 선제적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것도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인력 구조조정의 대상이 해외플랜트에서 토목으로 옮겨가는 것도 의미심장하다”며 “2~3년 내에 주택사업 인력도 칼바람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