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AI' 민관이 함께 키운다!
민‧관 대표로 구성된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 출범
이 기사는 2021년 09월 08일 15시 42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AI 최고위 전략대화'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딜사이트 최지웅 기자] 정부가 이통 3사를 비롯해 네이버, 삼성전자 등 국내 대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과 힘을 모아 초거대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7일 AI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는 'AI 최고위 전략대화'가 열렸다. 올해 처음으로 진행된 전략대화는 민·관 대표가 모여 기업의 AI 투자 비전과 정부의 투자 방향을 공유하고 AI·데이터 경제 선도를 위한 전략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날 카카오 여민수 대표, KT 구현모 대표, LG유플러스 황현식 대표, 네이버 한성숙 대표, SK텔레콤 박정호 대표, 삼성전자 다니엘 리 글로벌 AI 센터장 등 주요 ICT 기업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학계‧연구계 대표 인사가 참석해 국내 AI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국가 전체의 AI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민‧관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알파고 보다 똑똑한 초거대 AI


AI는 향후 경제·사회 전 분야의 근본적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기술이자 국제 주도권을 좌우할 범용 기술로 꼽히고 있다. 국내에서도 AI 시장 선도를 위해 AI 핵심기술 및 서비스 개발 등에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미국과 중국 등 주요 AI 선도국에 비해 데이터, 컴퓨팅 자원, 인력 등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민관 협력 소통 창구가 처음으로 마련된 것이다. 


전략대화는 초거대 AI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시작으로 반기에 한 번씩 개최될 예정이다. 논의주제는 ▲기반 활용(인공지능 반도체, 클라우드 등) ▲인재양성(민‧관 인재양성 프로그램 연계 등) ▲서비스 활성화(디지털 헬스케어, 로봇, 모빌리티 등) 등 인공지능과 관련된 전 분야다. 


올해 전략대화의 첫 주제는 '초거대 AI 생태계 활성화 추진 방향'이었다. 한국이 초거대 AI 기술 경쟁을 선도할 수 있도록 ▲초거대 AI 활용 확산 지원 ▲초거대 AI 기술 선도를 위한 산·학·연 연구 협력 ▲초거대 AI 관련 제도 개선 추진 등 초거대 AI 성능을 고도화하고 새로운 후보군 발굴을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 


초거대 AI는 대용량 데이터와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해 종합적이고 자율적으로 사고, 학습, 판단, 행동하는 인간의 뇌 구조를 닮은 AI를 일컫는다. 바둑에 특화된 알파고 등 기존 AI가 수억개에서 수백억개 매개변수를 지닌 반면, 최초 초거대 AI로 불리는 GPT-3(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3)는 매개변수 규모가 수천억개에서 수조개에 이른다. 적은 데이터만으로 빠른 학습이 가능해 다소 복잡한 서비스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국내 ICT 기업들도 초거대 AI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슈퍼컴퓨터를 도입한 데 이어 올해 5월 2040억개 매개변수 규모의 AI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를 공개했다. 


SK텔레콤은 국립국어원과 연내 1500억개 매개변수를 가진 초거대 AI 'GLM'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초기모델을 활용한 'AI 언어능력평가대회'도 준비 중이다. 


LG는 초거대 AI 개발에 향후 3년간 1억달러를 투자한다. 6000억개 매개변수 규모의 텍스트·이미지를 동시에 학습하는 초거대 AI를 연내 공개하겠다는 목표다. 


KT는 한국전자통신연, 한국과학기술원, 한양대학교와 함께 '초거대 AI' 공동연구를 내년 상반기에 공개할 예정이다. 카카오도 산‧학‧연 협력 기반 기술 개발‧사업화를 추진하는 'AI 클라우드 멤버십' 구축을 검토 중이다.


주요 기업들의 초거대 인공지능 추진 현황.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 협력으로 AI 한계 극복


초거대 AI는 ICT 기업들을 중심으로 지속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업에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단독으로 발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초거대 AI 생태계의 조기 활성화 도모를 위해 중소‧스타트업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중소‧스타트업은 막대한 투자비용이 소요되는 초거대 AI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긴 어렵지만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을 시도할 수 있다.


정부는 중소·스타트업이 초거대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뉴딜 연계 등을 통해 필요한 컴퓨팅 자원 등을 지원하고, 초거대 AI가 활용된 새로운 서비스의 조기 실증 기회 제공을 위한 공공분야 적용 방안 등을 검토한다.


초거대 AI가 가진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산·학·연 연구 협력도 강화한다. 정부는 새로운 초거대 AI 후보군 발굴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을 신규 추진하고, 디지털 뉴딜로 추진 예정인 정부 사업을 연계해 학계와 연구계에 관련 연구경험 축적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초거대 AI 고도화와 관련된 제도 개선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초거대 AI은 대규모 데이터 활용이 필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활용 및 결과물의 지적재산권 문제 해소를 위한 저작권법, 특허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법제 정비와 법제 정비 전 관련 서비스 조기 실증을 위한 규제샌드박스의 활용 활성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초거대 AI 서비스 실증을 위한 규제 특례 등 기업들이 제안한 건의 사항을 검토해 AI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민·관이 힘을 모아 우리나라 AI 경쟁력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도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