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은행자본확충펀드는?…“출자보다 대출”

[배요한 기자] 이번주에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 회의(13일)가 열려 기준금리 여부와 이주열 총리의 기업 구조조정 관련 발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이 총재는 국책은행의 구조조정 자금 확충 대안으로 자본확충펀드를 제시한 바 있다.

자본확충펀드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이미 진행됐던 정책이다. 당시 정부는 은행자본확충펀드를 조성해 2009년부터 은행이 기업부문에 자금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는 20조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계획했다.

20조원 규모의 은행자본확충펀드는 한국은행이 10조원정도 대출형식으로 지원하고, 기관 및 일반투자자가 8조원을, 산업은행이 2조원 정도의 자금을 지원한다. 조달된 20조원은 신종자본증권 및 후순위채권 등을 인수하고, 이 중 후순위채권을 중심으로 유동화 증권을 발행해 기관투자자에게 매각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2008년 자본확충펀드의 계획은 자금 모집부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당시 투자 수요가 부족해 실제 조성액은 계획된 금액인 20조원에 못 미치는 4조3000억원에 그쳤다. 자산관리공사는 산업은행으로부터 7천억원을 빌려 SPC(특수목적회사)를 설립했고, 산은은 한국은행에 담보를 제공한 이후 한은으로부터 추가적으로 대출받은 3조6000억원을 재차 SPC에 대출했다.

{$_002|C|01_$}

SK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9일 “한국은행이 언급한 은행자본확충펀드는 회수 여부가 불투명한 출자보다는 대출을 통한 원금 회수의 가능성에 대해서 더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로서 자본확충의 최종적인 해결점이 아니라는 점에서 2008년 사례와 비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한국은행이 제시한 이번 안은 구조조정 자금마련을 위한 정부와 한국은행간의 논의가 한 발짝 진행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김 연구원은 “은행자본확충펀드를 포함한 최근 논의들은 구조조정 자금 지원을 위한 대안 중 하나”라면서 “결국 구조조정 진행 과정에 대한 한국은행과 정부의 역할 조율이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중앙은행 간의 역할이 명확해 질수록 재정, 구조조정, 통화정책의 공조 시점이 가까워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