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호 연세대 교수 “블록체인은 자율주행차 사고 방지 기술”
자동차간 데이터 신뢰 확보, 4차 산업혁명 필요조건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공학부 김시호 교수


[김가영 기자] 4차 산업혁명은 흔히 초연결·초지능 사회가 오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자동차 사업 분야다. 이미 테슬라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여러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자율주행차를 연구 중이다.


국내에서도 자율주행차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까지 레벨3 수준 자율주행 달성을 위해 자율주행차를 조기 상용화 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기술 수준은 부분적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 2에서 3사이다. 레벨 3부터 자율주행으로 분류한다. 국토부는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데이터 공유센터를 경기 화성 ‘케이-시티(K-city)` 내에 구축하기도 했다.


이 분야에서 김시호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사진) 연구팀의 활동이 눈에 띈다. 지난해 10월 김시호 교수 연구팀은 SK텔레콤과 손잡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차에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 통신사와의 협력이 중요했던 이유는 자율주행을 위한 기반기술인 ‘커넥티드 카’ 개발을 위해서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자동차. 5G를 활용한 커넥티드카가 완전 상용화되면 차 안에서 양방향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 등과 각종 정보도 주고받을 수도 있다.


김 교수는 커넥티드 카를 연구하면서 데이터 신뢰 확보를 위해 블록체인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운행 정보에 대한 기록을 지역 동적 장부(LDB, Local Dynamic Blockchain)와 주장부(MB, Main Blockchain)에 기록하는 것이다. 해당 기술을 사용하면 수 천 대의 자동차 운행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위조와 변조, 해킹 등이 불가능하다.


김 교수는 자율주행차가 중앙화 될 경우의 위험성을 영화의 한 장면과 비교해 설명했다. 그는 “영화에서 해커가 도로 시스템을 해킹해 신호등을 마음대로 바꿔 사고를 내거나 기차 운행 방향을 바꾸는 장면이 나오는데,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가 중앙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자율주행차는 기존 자동차들이 운행했던 기록을 바탕으로 운전한다. 따라서 사고를 내는 길로 안내하도록 악의적으로 운행기록을 바꿀 수도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초연결 시대에서 중요한 것은 신뢰”라며 “연결된 자동차의 정보를 믿을 수 있어야만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수 있는데,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믿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블록체인은 단순한 보안기술이 아니라 기계간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하며 “보안은 벽을 만드는 방법이므로 언젠가 뚫리지만, 블록체인은 정보를 공개하고 공유해서 위변조를 할 수 없게 만드는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기계간 신뢰’를 확보하는 것에 적합한 기술이라는 것이다.


또 “지금의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면 기계간 연결은 가능하지만 신뢰성을 확보해줄 수는 없다”며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가 오면 누군가에게 길을 물어봤을 때 상대방이 알려준 정보를 믿을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