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최태원 회장 "HBM 개발 속도, 엔비디아 요구보다 빨라"
HBM 개발 경쟁력 자신…로봇·자율주행 등 물리적 AI도 논의
최태원 SK회장이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를 찾아 전시관을 둘러보고 국내 언론과 가진 간담회를 발언하고 있다. (제공=SK)


[미국 라스베이거스=이태웅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최근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 수준보다 빨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CES 2025 전시관을 참관한 후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와 만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젠슨 황 대표는 전날 글로벌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기자 간담회에서 "최 회장과 만날 예정"이라며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그동안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개발 속도보다 조금 뒤처져 있어 상대편(엔비디아)이 더 빨리 개발해 달라고 요구를 했었지만 최근에는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를 조금 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약간의 역전 형태가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는 HBM3부터 사실상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HBM 3세대 제품인 HBM3E 8단을 업계에서 처음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같은 해 10월 세계 최초로 HBM3E 12단 양산을 시작했다. 올해 CES에서는 HBM3E 16단 제품을 처음으로 선보이는 등 HBM 개발 경쟁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에 대해서는 "이미 다 실무진들이 정해 올해 공급량 등은 다 결정이 됐고 젠슨 황 대표와의 만남은 그것을 확인하는 정도였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 회장은 젠슨 황 대표가 기조연설에서 언급한 물리적 AI와 관련해서는 "의견을 교환했다"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지는 정하지 않았지만 조금 더 논의해보자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AI는 선택 사항이 아니며 모든 분야에 걸쳐 변화를 만들고 있다"며 "지금은 AI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인프라와 사람 등 기본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에 의존하게 되면 우리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며 "우리가 필요한 걸 우리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CES 2025 6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