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동아ST, '이뮬도사' 유럽 품목허가 획득 外

◆동아ST, 스텔라라 시밀러 '이뮬도사' 유럽 품목허가 획득


[딜사이트 유범종, 최광석, 최령 기자] 동아에스티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IMULDOSA, 프로젝트명 DMB-3115, 성분명 우스테키누맙)'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뮬도사는 지난 10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품목허가 승인 권고 의견을 받은 지 약 두 달 만에 최종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로써 지난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품목허가에 이어 유럽 EC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뮬도사는 얀센이 개발한 스텔라라(Stelara)의 바이오시밀러로 판상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다. 스텔라라 성분 우스테키누맙은 전 세계적으로 203억2300만 달러(아이큐비아 2023년 누적 매출액)의 매출을 기록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리는 바이오 의약품 중 하나다. 이뮬도사는 지난 2013년부터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메이지세이카파마가 공동 개발했고 2020년 7월 효율적인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동아에스티로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권리가 이전되어 동아에스티와 메이지세이카파마가 공동 개발을 진행했다.


◆시지메드텍, '노보시스 트라우마' 품목 허가


시지메드텍의 차세대 골절 치료 솔루션인 '노보시스 트라우마'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시지메드텍은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의 자회사로, 기존 척추 치료 중심 제품군을 넘어 골절 치료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골절 치료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시지메드텍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실제로 골절 치료 시장은 노화·스포츠 활동 증가·골다공증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골절 치료에 특화된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골절 치료 관련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320억 달러(한화 45조원)에 달하며 2036년까지 약 900억 달러(한화 129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성장에 발맞춰 시지메드텍은 골절 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치료 솔루션을 공급하고,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신제품을 출시하게 됐다. 노보시스 트라우마는 골절 치료의 영역 중 뼈의 '재생'과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골대체재로 급성 골절 치료와 골결손 부위 재생에 효과적이다. 특히 급성 상하지 골절로 인한 5cm 이하의 골결손 부위 치료에 적합하다.


◆셀트리온, '웹어워드 코리아 2024' 제약 분야 최우수상 수상


셀트리온이 '웹어워드 코리아 2024(WebAward Korea 2024)'의 공공·의료부문 제약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올해 21회를 맞이한 웹어워드 코리아는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KIPFA)가 주관하는 웹 평가 어워드로 인터넷 전문가 4,000여명으로 구성된 평가위원단이 가장 혁신적이고 우수한 웹사이트를 선정해 시상한다. 비주얼 디자인·기술·콘텐츠 등 6개 부문에서 총 18개 평가지표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각 분야별 수상작을 매년 발표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리뉴얼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자 접근성을 강화한 홈페이지 구성과 독창적인 디자인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아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특히 세포(cell)를 형상화한 오브젝트를 중심으로 회사의 비전과 슬로건을 비롯해 셀트리온만의 강점인 개발-생산-판매 사업구조 일원화를 보여줄 수 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축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사용자를 위해 바이오 의약품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성과·미디어 등 모든 콘텐츠를 모바일과 데스크탑 환경 모두에서 최적화된 화면 구성으로 일관된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한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혔다. 


◆HLB글로벌, 가족친화·여가친화인증 동시 획득


HLB글로벌이 직원들의 일과 가정·여가생활 간의 균형을 지원하는 우수한 기업문화를 인정받아 '가족친화인증'과 '여가친화인증'을 모두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가족친화인증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여성가족부가 부여하는 제도로 가족친화적인 직장문화를 조성하고 이를 적극 실천한 기관이나 기업에 수여된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여가친화경영 기업 인증은 직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하고 여가 혜택 및 활동을 적극 권장하는 '착한 기업'에게 부여된다. HLB글로벌은 ▲임직원 건강검진 지원 ▲패밀리데이 운영 ▲유연근무제 운영 ▲반반차 제도 운영 ▲복지몰 운영 및 휴양소 제휴 등 임직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한 점을 높이 평가받아 이번 인증을 획득하게 됐다. HLB글로벌은 '임직원의 삶의 질 향상이 곧 기업의 성장이다'는 김광재 대표의 철학을 바탕으로 복지 제도를 꾸준히 개선 및 확대해 왔다. 이번에 2가지 인증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은 김 대표의 강한 의지와 열정이 크게 반영된 결과라는 게 HLB글로벌 측의 설명이다.


◆메타비아 'DA-1241', 2상 탑라인 데이터에서 유효성과 안전성 확인


동아에스티의 자회사 '메타비아(MetaVia, 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241'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 탑라인 데이터(Topline data)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DA-1241 글로벌 임상 2상은 MASH 환자 대상 두 파트로 나누어 진행됐다. DA-1241 글로벌 2상 파트1은 위약군과 DA-1241 50mg 단독군, DA-1241 100mg 단독군으로 나눠 16주간 다기관·무작위 배정·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평행 비교 방식으로 DA-1241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DA-1241의 글로벌 임상 2상 파트2는 DA-1241과 시타글립틴(Sitagliptin) 병용 투여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1차 평가지표인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가 DA-1241 100mg을 투약한 MASH 환자에서 4주 차와 8주 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각각 p=0.0159, p=0.0342)한 것을 확인했고 16주 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p=0.0506)에 근접한 결과를 확인했다. DA-1241 50mg은 위약에 비해 16주 차에서 ALT 수치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p=0.0487)한 것도 확인됐다.


◆동국제약, '마데카 링클 트리트먼트 립밤' 3종 출시


동국제약이 입술 주름 개선 기능성 제품인 '마데카 링클 트리트먼트 립밤' 3종을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마데카 링클 트리트먼트 립밤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정한 주름 개선 기능성 성분인 '아데노신'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이다. 세 가지 컬러와 쫀쫀한 텍스처로 입술 주름 사이를 빈틈없이 채워 볼륨감 넘치고 매끄러운 입술을 만들어 주며 얼굴에 생기를 더해 준다. 아데노신 성분뿐만 아니라 동국제약 마데카솔루션의 핵심 성분인 'TECA(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와 캐스터오일, 글리세린 등 보습 성분을 더해 입술을 쫀쫀하게 메우고 탱탱하게 채우는 볼륨 립밤의 정석을 보여준다. 입술은 각질층이 얇고 모공이 없어 유수분 밸런스를 맞추기 어렵고 노화에 가장 취약한 부위인데 제품은 입술 노화 5대 고민인 주름·탄력·보습·치밀도· 볼륨에 대한 4주간의 임상 시험으로 립 안티에이징 효과를 입증 받았다.


◆인바디-부산대학교,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공동연구


인바디가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와 '체성분 자가 관리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구축 공동연구 및 인력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인바디와 부산대학교는 부산대 글로컬 임상실증센터에 설치된 인바디 가정용 체수분측정기 BWA ON을 활용해 림프부종 조기 평가 및 관리가 가능한 홈케어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산학협력 활동을 본격화한다. 양 기관은 국내 홈케어 시장 개척을 선도하고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협약은 부산대 글로컬30 사업의 지원 아래 체성분 자가 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서비스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개발 인력 양성을 위한 의생명특화전공 교육 협력 ▲체성분 자가 관리 서비스를 위한 공동연구 및 지역사회 서비스 확산 등의 협력 과제를 포함한다. 인바디는 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신명준 교수 연구팀과 함께 글로컬 임상실증센터에서 BWA ON을 활용한 임상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가정에서도 체수분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HK이노엔, 걸음기부 캠페인 성료


HK이노엔(HK inno.N)이 걸음 기부 캠페인 '걸음엔 이노엔'을 통해 당뇨병 어린이 및 장기기증자 자녀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2021년부터 현재까지 7번의 걸음 기부로 장기기증자 자녀를 포함해 당뇨병 어린이·비만 아동 총 179명을 지원했다. HK이노엔은 지난 17일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사랑의열매 회관에서 장학금 전달식을 열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총 1억원의 장학금을 기부했다. 전달된 장학금은 당뇨병 어린이와 장기기증자 자녀의 교육 지원에 사용된다. HK이노엔은 지난달 1일부터 한 달간 사랑의열매를 포함해 한국장기조직기증원·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장기이식의료기관과 함께 7번째 걸음 기부 캠페인 '걸음엔 이노엔'을 진행했다. 이번 캠페인은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했다. '걸음엔 이노엔' 시즌7에는 HK이노엔 임직원과 일반인을 포함해 총 1만 5천여 명이 참여했다. 목표 걸음인 5억 걸음에서 237% 초과한 총 11억 9천만 걸음을 달성해 소나무를 최대 1만 6천 그루 심은 것과 같은 탄소 절감 효과도 얻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제약+ 846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