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에서]
HMM 인수전 '씁쓸한 뒷맛'
절차적 공정성 훼손 비판…과거 대우건설 매각 닮아
이 기사는 2023년 12월 20일 14시 06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공=HMM)


[딜사이트 유범종 차장] 지난달 말 본입찰 이후 3주 이상 끌어온 HMM의 새 주인이 윤곽을 드러냈다. 끝까지 치열한 경합을 벌였던 동원을 꺾고 하림이 우선협상대상자(우협)로 최종 선정되면서다. HMM 채권단인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장고 끝에 6조원이 넘는 인수금액을 제시한 하림의 손을 들어줬다. 채권단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번 딜을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우선협상자가 선정됐지만 뒤끝이 개운치 않다. 본입찰 과정에서 절차적 공정성 문제가 불거진 탓이다. 발단은 하림이 우협 선정 전 제시한 조건 때문이다. 하림은 채권단이 보유한 1조6800억원에 달하는 영구채 주식전환을 3년간 유예해달라고 따로 요청했다.


채권단이 HMM 매각 이후 영구채를 바로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하림의 지분율은 57.9%에서 38.9%로 뚝 떨어진다. 하림 입장에선 배당금 축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채권단이 이 조건을 수용하면 하림은 향후 3년간 약 3000억원에 달하는 배당금을 더 챙길 수 있다. 이는 하림이 HMM을 품에 안기 위해 일으킨 인수금융에 대한 이자부담을 덜 수 있는 여지로도 활용될 수 있다.


결국 HMM 인수전에서 하림과 경합했던 동원측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동원은 당초 '매각자가 영구채 주식전환을 추가해 HMM의 잠재적 발행주식총수 약 10억주를 기준으로 인수금액을 제시하라'는 입찰기준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조건이 애초에 동원에도 제시됐다면 인수금액을 더 높였을 것이라며 법적 대응까지 불사한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만약 동원이 법적 대응을 포함한 실질 행동에 나선다면 HMM 본계약을 위한 협상 과정에서 이 문제는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크다. 


오해의 소지는 또 있다. 우협 선정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의 네덜란드 순방에 김홍국 하림 회장이 동행하면서 특혜 논란은 더욱 불거졌다. 하림 측은 한국무역협회의 비즈니스포럼에 식품군 최고경영자(CEO)로 초청받아 참가하는 것이라며 HMM 인수와는 선을 그었지만 좀처럼 논란은 식지 않고 있다. 치열한 경합 속에서 인수후보 대표가 대통령 순방에 동행하는 모양새가 실제는 아니더라도 보기엔 한쪽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HMM 노조까지 매각 반대 시위에 나서면서 파장은 커지고 있다. 현재 사측과 단체협약을 진행 중인 HMM 노조는 하림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자 사측에 단체협약 결렬을 통보하고 파업권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하림의 HMM 인수가 '졸속 매각'이라고 비판하며 매각 절차를 중단시키기 위해 모든 방안을 동원해 투쟁한다는 입장이다.


사실 이번 HMM 매각 논란은 과거 중흥건설의 대우건설 인수 논란과도 닮아있다. 2021년 산업은행 자회사인 KDB인베스트먼트(KDBI)가 대우건설 매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상 초유의 재입찰을 진행한 사례가 있다.


당시 KDBI는 본입찰에서 1조8000억원을 제시한 DS컨소시엄보다 5000억원을 더 써낸 중흥건설을 우협에 선정했다. 하지만 중흥건설이 차순위자와의 가격 차이에 불만을 표시하며 인수 포기 의사까지 내비치자 KDBI는 이례적으로 재입찰을 실시했다. 결국 재입찰 과정을 거쳐 중흥건설은 처음 제안한 가격보다 2000억원이나 낮은 2조1000억원에 대우건설을 품었다. 당시 KDBI 측은 재입찰이 아닌 단순 거래조건 수정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시장에선 최고가 입찰을 한 기업에게 다시 제안할 기회를 준 건 특혜라는 지적이 나왔다.


당시 거래는 현재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 산업은행이 진행한 인수합병(M&A)에 대해 감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과정에서 중흥건설의 대우건설 매각 건에 대해 특혜의혹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HMM 매각의 경우 대우건설 M&A 사례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정부의 절차적 공정성이 투명하지 않았다는 데는 공통분모를 가진다. 산은은 정부의 대변인 역할을 한다. 정부 입장에서 HMM 매각이 시급한 사안이었다 할지라도 그 과정이 투명하지 못하면 결국 매각 이후 잡음이 생길 수 밖에 없다. HMM 인수전 역시 우여곡절 끝에 우협이 선정됐지만 씁쓸한 뒷맛은 이 때문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충정로에서 37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