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한투PE]
구조혁신펀드, '투자영역 확대' 숙원 풀까?
캠코 숏리스트 선정, 3000억 조성 목표...하반기 매물 대거 출회 시 적극투자 가능
이 기사는 2023년 06월 14일 16시 25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김진배 기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한투PE)가 바이아웃(경영권인수) 투자확대 기조를 결정한 가운데, 올해 조성을 추진중인 '구조혁신펀드'가 핵심축으로 떠오르게 될지 이목이 집중된다. 하반기부터 자금조달 이슈가 있는 매물들이 시장에 대거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를 타깃으로 한 펀드를 만들 경우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이끌어 내기 수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4일 투자은행 업계(IB)에 따르면 최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기업구조혁신펀드'의 위탁운용사(GP) 숏리스트로 PEF 15곳을 선정해 통보했다. '일반 부문'에 지원한 한투PE는 SG프라이빗에쿼티(PE), 유진자산운용,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 등 9곳과 운용사 3자리를 놓고 경쟁한다. 한투PE와 SG PE는 지난 2020년 캠코 출자사업에 공동운용사(Co-GP)로 참여해 구조조정펀드를 결성했지만, 이번에는 경쟁 상대로 만나게 됐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캠코가 기업구조 조정을 통해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한 펀드다. 펀드 결성액의 60% 이상을 사전적·사후적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투자하도록 설계됐다. 자본잠식, 과다부채 등 재무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기업이 주 타깃이다. 또 파산했거나 회생 및 관리절차가 진행된 기업도 주요 투자대상이다. 



시장은 한투PE가 캠코의 구조혁신펀드 출자사업에서 최종 운용사로 선정될 경우 바이아웃 투자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메자닌에 집중된 투자영역을 넓혀 나가기로 회사 내부적 의사결정을 마친 상황에서, M&A에 적합한 대규모 재원을 확보하게 될 경우 공격적인 투자에 탄력이 붙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반기부터 중소기업들이 대거 매물로 출회할 것이란 시장 전망도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해부터 상당수의 중소기업들이 ▲급격한 금리인상 ▲레고랜드발 자금경색 등의 이유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일반적인 캐쉬버닝(자금소진)인 1년이 지난 올 하반기 정도를 (버틸 수 있는) 마지막 시점으로 보고 있다. 충분한 현금을 비축해 두지 못한 기업들은 결국 순차적으로 PEF 등 외부 투자처로부터 자금조달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설명이다.


캠코 출자사업에 단독으로 지원한 점은 한투PE가 '바이아웃 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른 회사와 공동으로 펀드를 운용할 경우, 의사결정 프로세스가 복잡할 뿐 아니라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서로 눈치만 보고 안전한 투자만 승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이아웃 보다는 메자닌, 소수지분 등 '하방장치'가 어느 정도 마련된 딜에 주력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투PE가 SG PE와 공동으로 지난 2020년 2550억원 규모로 결성한 블라인드펀드(한투에스지기업재무안정)의 경우 바이아웃 딜이 단 한건도 없다. 신영(400억원), 티앤더블유코리아(350억원), IGA웍스(350억원), 대한조선(500억원) 등 7개 회사에 투자를 단행했는데 대부분 메자닌 방식이었다.


SKS PE와 공동 운용하는 블라인드펀드(에스케이에스한국투자제1호사모)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소·부·장 기업에 주력으로 투자하기 위해 기획된 이 펀드는 총 1304억원 규모로 결성됐다. 첫 투자처로 제일기공을 낙점해 상환전환우선주(RCPS) 100억원, 신주인수권부사채(BW) 50억원을 매입한 뒤 이어진 투자에서도 서진지스템(100억원), 비엠티(200억원), 에코프로(200억) 등 모두 CB형태로 투자했다.


현재 한투PE는 캠코의 GP 선정 결과 발표를 기다리며 펀드 매칭(matching)이 가능한 다른 LP들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캠코로부터 약 1000억원 안팎을 출자받고 한국투자금융 그룹 및 연기금 및 금융투자로부터 추가 자금을 모아 총 3000억원 규모 블라인드펀드를 조성한다는 목표다. 일부 LP들은 그간 투자성과에 주목하며 출자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한투PE는 오랜 기간 메자닌 및 소수지분 부문에서만 투자레코드를 쌓으면서 M&A 이력에 대한 갈증이 심했다"며 "수천억원 규모의 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할 경우, 다수의 바이아웃 딜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
기로에 선 한투PE 1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