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김주연 기자] LG이노텍이 LX세미콘과 손잡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아이패드에 칩온필름(COF) 공급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서는 LX세미콘이 LG그룹 계열사였던 만큼 두 기업의 협업이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LG이노텍 입장에서는 OLED 아이패드 공급망에 진입하는 것이 매출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아이패드로 납품처를 확대하더라도 LG이노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LG이노텍의 전체 매출에서 기판소재사업 비중이 작은데다 CoF 분야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만큼 유의미한 부가가치를 일으키긴 어렵다는 평가다.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가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애플의 OLED 아이패드에 공급할 패널에 LX세미콘의 DDI가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 LX세미콘의 DDI와 함께 CoF를 공급하는 LG이노텍도 아이패드 공급망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애플은 아직 LX세미콘의 DDI에 대한 인증을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LX세미콘은 지난해에도 OLED 아이패드 패널에 DDI를 납품해 공급망에 진입하려 했지만, 애플은 첫 OLED 아이패드 출시 당시 모바일 OLED DDI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의 제품을 채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당시에는 삼성전자 LSI사업부가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한 OLED 패널에 DDI를 전량 공급했다.
하지만 올해는 LX세미콘의 DDI가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애플이 멀티 벤더 전략을 선호하고 있으며 가격 인하 압박을 위해 신규 벤더로 LX세미콘을 추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LG이노텍도 수혜를 입을 수 있다. LX세미콘의 DDI가 패널에 연결될 때 LG이노텍의 CoF가 함께 사용되기 때문이다. 납품이 성사된다면 LG이노텍은 처음으로 아이패드에 인쇄회로기판(PCB)을 공급하게 된다.
DDI는 모바일 제품의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CoF는 DDI를 디스플레이에 부착하는 방식 중 하나로, DDI가 실장된 박막인쇄회로가 형성된 필름이다. 얇은 필름 위에 DDI를 실장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두께와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업계에서는 LX세미콘이 한때 LG 계열사였던 만큼 협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LX세미콘이 예전에 LG 계열사였던 만큼 관계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애플이 LX세미콘의 DDI를 채택하더라도 CoF는 다른 업체 제품을 사용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LX세미콘 입장에서는 기존 협력 관계를 고려해 함께 들어가길 요구할 수 있다"며 "애플이 이미 아이폰에 LG이노텍의 PCB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검증이 필요 없다는 점도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납품이 성사된다면 LG이노텍으로서는 공급처 확대를 통한 매출을 증진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애플은 올해 OLED 아이패드를 500만대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LX세미콘뿐 아니라 CoF 공급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큰 부가가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CoF 사업이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중국 업체들의 진출로 경쟁이 심화된 만큼 고성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앞선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의 난입으로 CoF 시장 경쟁이 심해졌다.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사업이라 미래를 위한 성장 아이템으로 보긴 어렵다"며 "LG이노텍은 어느 정도 투자를 마친 상황이어서 추가 투자 없이도 이익은 낼 수 있겠지만 매출 성장률이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LG이노텍의 전체 매출에서 광학솔루션사업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만큼 아이패드 CoF 납품만으로는 유의미한 실적으로 보긴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LG이노텍의 올해 1분기 매출은 4조9828억원, 영업이익은 1251억원이다. 이 중 광학솔루션사업이 4조1394억원으로 83%를 차지했고, 기판소재사업은 3769억원으로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업계 관계자는 "OLED 아이패드에 CoF를 납품하게 되더라도 매출에서 큰 의미를 갖긴 어렵다"며 "애플과의 거래는 이미 안정적인 만큼 새로운 거래선을 확보해야 한다. CoF보다는 유리기판이나 휴머노이드와 같은 신사업 쪽이 LG이노텍의 미래 아이템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