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타협 없는 안전 철학…글로벌 판매 '쑥'
미 IIHS·유로 NCAP 최고등급 '싹쓸이'…수천번 충돌 테스트 등 차량 안전성 강화
현대차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 (제공=현대차그룹)


[딜사이트 이채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현대차그룹)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5년간 미국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에서 진행하는 충돌안전평가에서 총 106개 모델이 '최고 안전한 차'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 최다 횟수다. 


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매년 미국 시장에 출시된 차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을 부여한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 28개 ▲2022년 26개 ▲2023년 15개 ▲2024년 22개 ▲2025년 현재까지 15개 모델이 TSP 이상 등급을 획득하며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꾸준히 입증해 오고 있다.


특히 IIHS의 충돌안전평가 기준이 매년 강화되는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이 2년 연속 TSP 이상 등급에 최다 선정된 점은 의미가 크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IIHS는 지난해 정면 충돌 평가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 여성 또는 12세 아동 탑승을 가정해 작은 체구의 더미를 추가한 새로운 평가 방식을 도입했다. 올해는 해당 평가 성적이 '훌륭함'을 획득해야만 TSP+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더욱 강화했다. 또 보행자 충돌 방지 평가에도 주·야간 성적 모두 '양호함' 이상부터 TSP, TSP+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한 차례 높인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유럽의 대표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도 판매 중인 모든 전용 전기차가 최고 등급 별 다섯개를 획득했다. 세부적으로 이 회사의 ▲현대차 아이오닉 5(2021년) ▲기아 EV6(2022년) ▲기아 EV9(2023년) 제네시스 ▲GV60(2022년) 등이 뛰어난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유로 NCAP은 1997년에 시작된 신차 안전성 평가로 유럽에서 판매 중인 자동차에 대한 안전성 검증 테스트를 실시해 매년 결과를 발표한다. 평가 항목은 ▲성인 탑승자 보호 ▲어린이 탑승자 보호 ▲보행자 보호 ▲안전 보조 시스템 등 총 4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종합 평가 결과에 따라 등급을 부여한다.


현대차그룹이 유명 충돌안전평가에서 잇따라 최고 수준의 성적을 받으면서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상품성이 높은 자동차'라는 인식이 확산됐고, 이는 글로벌 판매 증대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주요한 요인 연결되는 모습이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의 해외시장 판매량은 ▲2021년 540만대 ▲2022년 561만대 ▲2023년 597만대 ▲2024년 598만대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앞으로도 안전 최우선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최고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을 고객에게 제공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차그룹 '품질과 안전에 대해서는 다른 어떤 것과도 타협하지 않는 자세로 완벽함을 추구할 때 비로소 고객이 우리를 신뢰할 수 있다'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안전 기술을 개발하고 차량에 적용해 왔다. 예컨대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2021년 1월 새해 메시지에서 "품질과 안전에 대해서는 다른 어떤 것과도 타협하지 않는 자세로 완벽함을 추구할 때 비로소 고객이 우리를 신뢰할 수 있다"며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아 K4. (제공= 현대차그룹)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