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첫날 '168%' 급등…줄줄이 홈런에 개미들 '함박웃음' [한국경제]
새내기주가 상장 첫날 줄줄이 급등하고 있다. 증시 호황에 힘입어 투자심리와 기업공개(IPO) 시장에 불이 붙은 모습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상장 초반엔 등락폭이 크고, 상승세가 길게 이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한다. 또 강화된 규제가 8월부터 본격 적용되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조언이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6월 이후 현재까지 유가증권·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7개 기업의 상장 당일 종가는 모두 공모가보다 높았다. 평균 상승률은 80.93%에 달했다. 지난달 2일 데뷔한 키스트론은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168.33% 급등했다. 지에프씨생명과학과 뉴엔AI도 '따블'에 성공했다. 첫날 상승률이 가장 낮았던 종목인 지씨지놈도 5.71% 강세를 보였다.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합병 방식으로 상장한 케이지에이와 뉴키즈온도 거래 첫날 종가는 기준가보다 높았다.상장 과정에서도 흥행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2분기 공모주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은 평균 1077대 1로 집계됐다. 1분기(804대 1)에 비해 큰 폭으로 올랐다. 같은 기간 공모주 청약 경쟁률도 765대 1에서 1206대 1로 높아졌다. 최근 수요예측을 끝낸 뉴로핏의 경쟁률은 1087.6대 1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코스피, 3180선서 등락…외인, 현·선물 1조 '매도' [한국경제TV]
코스피가 3180선에서 등락중이다. 낙폭을 만회하는가 싶더니 다시금 밀리는 모양새다. 16일 오후 1시56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대비 27.89포인트(0.87%) 떨어진 3187.39를 기록중이다. 미 물가 우려에 따른 미국의 시장금리 상승이 투심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삼성전자가 지수의 하방을 지지하는 모양새다. 주요 수급주체별로는 외국인이 현·선물시장에서 각각 2300억원, 6400억원 순매도에 나서고 있다. 기관 역시도 3100억원 매도 우위. 반면, 개인은 4700억원 어치를 사들이고 있지만 지수 하락을 방어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별로는 삼성전자, HD현대중공업 등의 오름세를 기록중인 가운데 전반적으로 혼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KB금융, 두산에너빌리티, 신한지주 등은 약세다. 같은 시각 현재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1포인트 하락한 811.47을 기록중이다.
잠잠했던 인플레, 관세 맞고 깨어났다…멀어지는 금리인하 [이데일리]
미국의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월 2.9%를 기록하며 전달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관세 영향이 일부 품목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하에 더욱 신중을 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미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일치하지만, 5월(2.4%)보다 상승률이 높아졌다. 전월 대비로는 0.3% 오르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같은 기간 2.9% 올랐고, 전월 대비로는 0.2% 올랐다.
올해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 69대 1…전국보다 8배 높아 [뉴스1]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청약 평균 경쟁률이 전국 대비 8배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입지 선호도 현상과 시세 차익 기대감이 청약 통장을 끌어모은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1·2순위 청약 경쟁률은 69.21 대 1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8.87대 1) 대비 8배 높은 수치다. 서울과 전국의 청약경쟁률 격차는 지난 2021년부터 벌어지기 시작했다. 당시 신축 아파트 희소성이 청약 경쟁률 급증으로 이어졌다. 분양가상한제 시행에 따른 시세 차익 기대감과 저금리 환경도 맞물렸다. 올해 하반기 전국 청약 예정 물량은 상반기(7만349가구) 대비 2배 이상 많은 17만 1118가구다. 변수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된다는 점이다. 정책 금융 상품 한도 축소와 전세대출 규제 강화로 청약 당첨 이후 잔금 마련에 대한 부담이 커졌다. 일부 고분양가 단지나 비선호 입지에서는 청약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