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배지원 기자] 경제와 민생회복을 기치로 든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코스피 5000을 공언한 새 대통령의 공약이 증시 활성화로 이어질 거란 기대감이 높아졌다. 새 정부가 세계적인 불경기를 타개하기 위해 경기와 주식시장 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서줘야 한다는 것도 증권업계의 바람이다. 이재명 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이 자본시장에도 온기를 미칠 거란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미 유동성 확충을 목표로 한 민생경제 대책을 예고했다. 그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가장 먼저 '비상경제대응 TF'를 구성해 직접 지휘하겠다"고 약속했다. 즉각적인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대해서도 공언해온 터라 어떤 수준의 재정대책이 자본시장에 물꼬가 되어줄 지가 관심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가 둔화하는 상황이라 정부도 부양책을 꺼낼 수밖에 없다"며 "유동성이 확대되면 증시로 자금이 유입되는 흐름으로 이어져, 자본시장 전반의 분위기가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공약집에 따르면 정부는 수급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또 코스닥벤처펀드의 소득공제 혜택을 연장하고, 코스닥 공모주 우선배정물량을 상향 조정해 신규자금이 시장에 들어오도록 유도할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코스피 5000 시대를 여는 첫걸음은 자본시장의 체질 개선에 있다"고 강조하며, 제도적 변화도 예고했다. 그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주가지수 5000 시대를 열겠다"며 "소액주주도 이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전 정부에 좌절됐던 상법개정안도 다시 추진돼 시장에서 발효될 것으로 보인다. 상장기업 특성에 맞춘 주식시장 구조 재편과 주주환원 강화 정책이 골자다. 이재명 대통령은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일반주주 권익을 보호하겠다"며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하는 상법 개정안 재추진을 예고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
- ㄴ李 AI 100조 투자공약…이대희號가 소화할 수 있을까
- ㄴ'주주환원 덕' KB금융, 외국인 투자자 돌아온다
- ㄴ6월 전국 2.6만가구 분양…3단계 DSR 규제 전 '마지막 청약'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