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에 베팅" 미국, 본격 '반격'에…들썩이는 한국 주식 [한국경제]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희토류 확보 경쟁에 본격 나서면서 국내 증시에서도 희토류 테마로 분류된 종목들 주가가 급부상하고 있다. 희토류는 반도체, 스마트폰, 배터리 등 제조에 필수적인 전략 광물이다. 16일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은 2.07% 오른 4685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 ETF는 지난 5거래일간 14.69% 상승했다. 이달들어선 19.21% 수익률을 냈다. 이 기간 국내 상장 ETF 중 가장 수익률이 높다.구성종목 중 비중이 34%로 가장 큰 '반에크 희토류·전략적자원 ETF(REMX)', 약 5%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최대 희토류 채굴업체 MP머티리얼스 등의 상승세 덕분이다. REMX는 지난 5거래일간 12.49% 올랐다. 같은 기간 MP머티리얼스는 85.41% 급등했다. 미국 정부와 기업들이 이 기업을 필두로 희토류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어서다.
"너무 올랐나" 차익실현 매물에 KB금융 5%↓…시총 6위로 [뉴스1]
코스피가 숨고르기를 하는 가운데 그동안 올랐던 은행·증권주가 큰폭으로 하락 마감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은 전일 대비 6000원 내린 11만3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 순위도 5위에서 6위로 밀려났다. 이외에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iM금융지주 등이 내렸다. 증권주도 모두 약세였다. 미래에셋증권은 전일 대비 1600원 내린 2만9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영증권,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상상인증권, NH투자증권 등도 하락했다. 이날 등락률 하위업종 1,2위에 증권, 은행이 각각 올랐다.특히 외국인들이 KB금융을 534억원어치 팔았다. 또 메리츠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도 순매도했다. 전날 국무회의에서는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 의무를 기존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고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해 3%까지만 인정하도록 하는 '3%룰' 등이 담긴 상법 개정안을 의결하자 차익실현이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美물가 우려·차익매물에 3200선 내줘…코스닥 약보합 [연합뉴스]
16일 코스피가 미국 물가에 대한 우려와 차익 실현 매물 출회에 끝내 3200선을 회복하지 못한 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28.90포인트(0.90%) 내린 3186.38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7.80포인트(0.24%) 내린 3207.48로 출발한 후 장 초반 3178.42까지 밀려나기도 했다. 점차 낙폭을 줄여가며 장중 한때 3209.20까지 갔으나 다시 하락세가 깊어지며 3180선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순매도를 이어오다가 장 막판 268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4299억원을 순매수했고 기관은 5528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은 481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장보다 5.5원 오른 1385.7원에 마감했다. 엔비디아 훈풍에도 반도체 대형주는 혼조세를 보였다. 전날 엔비디아는 대중 수출 재개 소식에 주가가 사상 처음 170달러가 넘어섰다. 이에 삼성전자는 전장보다 1.57% 오른 6만4700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SK하이닉스는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며 0.84% 내린 29만6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미국 물가 우려가 차익 실현을 촉발하면서 코스피가 3200선을 내줬다"며 "글로벌 투자심리가 약화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의약품 관세 아마 이달말부터…韓 등 무역개방 의지 시사"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외국산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이르면 이달말부터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공동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피츠버그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하고 워싱턴으로 복귀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질문받자 "아마도 이달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서 제약회사들에게 1년여 (미국내 생산라인을) 건설할 시간을 줄 것"이라며 "그런 다음 우리는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의약품 관세를 단계적으로 인상한다는 구상을 밝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외국산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 시간표에 대한 질문에 "(의약품과) 비슷하다"며 "덜 복잡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아프리카, 카리브해 주변 등의 "작은 나라들"에 10%를 조금 넘는 상호관세율을 일괄 적용할 것이라면서 곧 관세 서한을 대상국들에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일 등 14개국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개 경제주체(24개국+유럽연합)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발송하면서 내달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왔다.
스테이블코인株, 트럼프 가상화폐법 찬성 설득 소식에 반등 마감 [연합뉴스]
국내 스테이블코인 관련주가 16일 미국 의회에서 가상화폐 관련 법안 통과에 제동이 걸리며 하락하다가 장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법안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설득했다는 소식에 힘입어 급반등했다. 이날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로 분류되는 쿠콘은 전장 대비 20.85% 급등한 4만8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5만1400원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장 초반 주가는 미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추진하는 '지니어스 법안' 등 가상화폐 법안을 처리하는 방식에 관해 이견이 생긴 가운데 하원이 이들 법안의 심의 시작을 위한 절차적 표결을 부결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장중 트럼프 대통령이 가상화폐 법안 통과를 거부해온 의회 내 보수 세력들이 법안을 진전시키도록 설득했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급반등했다.
"너무 올라 불안하네"... 증시 고점에 곱버스 베팅하는 개미들 [파이낸셜뉴스]
코스피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상품을 적극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특히 단기 급등에 따른 과열 경계심이 커지면서 일명 '곱버스(인버스+곱하기)'로 불리는 고위험 상품도 공격적으로 확대중이다. 16일 코스콤 CHECK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9~15일) 개인 투자자는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KODEX200선물인버스2X'를 1148억원어치 사들이며 순매수 1위에 올렸다. 일명 곱버스로 불리는 이 상품은 코스피200 선물 지수를 두 배로 역추종하는 상품이다. 지수 하락 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상승장에서는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개인은 이 기간 곱버스 외에도 코스닥 지수 하락에 베팅하는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를 272억원어치, 코스피200을 1배로 역추종하는 'KODEX인버스'를 246억원어치 각각 사들이며 순매수 9위와 10위에 올렸다. 코스피가 단기간 연고점을 돌파하자 과열 부담이 커졌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개인 투자자들이 상승보다는 하방 압력이 높다고 판단한 만큼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수단으로 인버스 상품을 선택한 것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