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2 물류센터, 4년째 브릿지론 연명…이자부담 눈덩이
시행사 누적 결손금 550억 육박…지역주민 반발에 추가 지연 우려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2일 07시 00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동탄2신도시 복합물류단지 위치도 (그래픽=딜사이트 이동훈 기자)


[딜사이트 박안나 기자] 동탄2신도시에 초대형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4년째 브릿지론 단계에서 표류하고 있다. 지난해 말 화성시 시설 조성계획 결정이 고시된 뒤 지난달 교통영향평가 조건부 승인까지 이뤄졌지만, 인근 지역 주민 반발이 거센 탓에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업 시행을 위해 설립된 에프엔동탄제일차는 2022년 토지 매입을 위해 자금을 조달한 이후 연간 100억원가량의 이자만 부담하고 있다. 이에 금융비용 부담에 따른 사업성 저하 우려도 나온다.


12일 건설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동탄2 물류센터 개발사업의 시행을 맡은 에프엔동탄제일차는 앞서 5월 말 1050억원 규모 브릿지론 만기가 도래하면서 대주단과 변경 대출약정을 체결, 만기를 1년 연장했다. 지난 2022년 5월 사업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일으켰던 대출로, 2023년과 2024년에 이어 세 번째 브릿지론 만기 연장이다.


에프엔동탄제일차는 새마을금고중앙회를 비롯해 무려 27곳의 지역금고를 통해 500억원을 조달했다. 이 외에도 ▲수협은행(100억원) ▲동원제일저축은행(70억원) ▲SBI저축은행(120억원) ▲모아저축은행(30억원) ▲엠에이동탄제일차(50억원) ▲IBK캐피탈(70억원) ▲우리금융캐피탈(60억원) ▲신한캐피탈(50억원) 등 금융사 여러 곳을 대주단으로 확보하고 있다.


2022년 5월 최초로 브릿지론을 조달하던 당시 금리조건은 5%였다. 에프엔동탄제일차가 1년동안 부담해야 하는 이자는 50억원대였는데 이듬해인 2023년 7.5%로 금리가 뛰었다.


지난해 대출연장 과정에서는 전체 대주단 가운데 새마을금고연합과 수협은행, 동원제일저축은행 등 일부 금융기관에서 조달한 670억원의 금리가 8%로 상향됐다. 이에 에프엔동탄제일차가 부담하는 브릿지론 이자 규모도 80억원을 넘어서게 됐다. 


브릿지론을 일으킨 2022년 5월부터 약 3년여동안 에프엔동탄제일차가 부담한 브릿지론 관련 금융비용은 모두 214억원 가량이었다. 여기에 정원개발 등 특수관계인으로부터 끌어온 기타 차입금에 대한 이자까지 고려하면 에프엔동탄제일차의 금융비용 부담은 더욱 커진다.


실제로 지난해 에프엔동탄제일차가 인식한 이자비용은 119억원으로 집계됐다. 브릿지론에 대한 이자가 81억원, 기타 차입금 관련 이자는 38억원이었다. 브릿지론 조달 전인 2021년에는 연간 이자비용이 28억원 수준이었지만 2022년에 72억원, 2023년 99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에프엔동탄제일차 이자비용 내역 (그래픽=딜사이트 신규섭 기자)

에프엔동탄제일차는 동탄2 물류센터 개발사업 시행을 위해 설립된 법인이다.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1131번지 일원에서 지하 4층 내지 지상 14층의 창고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에프엔동탄제일차는 향후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분양 및 운영 등을 통해 수익을 인식할 수 있다. 4년째 브릿지론 단계에 머물고 있는 탓에 금융비용 등에 따른 결손금만 쌓이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 누적 결손금은 54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에프엔동탄제일차는 올해 8월 건축허가 완료를 목표로 잡아뒀다. 지난 5월 교통영향평가 심의에서 진입도로 개선, 통행량 분산 등을 골자로 조건부 승인까지 받으면서 순조롭게 사업을 이끌어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사업 예정지 인근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마주하게 되면서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계획이 늦춰지면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사업성 저하도 피할 수 없게 된다.


사업장 인근에 동탄신도시 주거 밀집지역이 자리한 데다, 오산시 부산동과 인접해 있어 화성시와 오산시 두 지역 주민들이 반대의견을 내놓고 있다. 화성시가 지역구인 이준석 의원과 이권재 오산시장 등은 동탄2 물류센터 개발을 막기 위해 공동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 예정지는 지구단위계획상 유통업무설비용지로 분류돼 복합물류단지 조성이 가능한 곳"이라며 "지역사회 반발 등을 고려하면 일정이 다소 지연될 수는 있지만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