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김호연 기자] 레이저티닙의 원개발사 '제노스코'가 끝내 상장예비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최종 문턱인 한국거래소 시장위원회에서 미승인 통보를 받으며 2년에 걸친 상장 추진을 마무리하게 됐다.
기업공개(IPO)는 제노스코가 재무적투자자(FI)들에게 제시한 유일한 투자금 회수 방안이었다. 이번 IPO가 최종 무산되며 내부 동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구개발(R&D) 재원 확보 차질에 따른 인력 이탈 등 난항을 예고하고 있어 추가 자금조달계획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 상장심의위원회의 상위기관 시장위원회는 지난 21일 제노스코의 상장예비심사 결과를 '미승인'으로 확정했다. IPO 추진 기업은 상장심의위원회에서 미승인 통보를 받을 경우 상위기관인 시장위원회 심의를 신청할 수 있다. IPO가 절실했던 제노스코는 상장심의위원회 결과에 승복하는 대신 상위기관 재심의를 선택했지만 동일한 통지서를 받게 됐다.
상장심의위원회 결과를 시장위원회 재심의를 통해 뒤집을 가능성은 애초에 희박했다는 게 증권업계의 지적이다. 2022년 에이프릴바이오가 시장위원회 재심의로 상장예비심사를 최종 통과한 게 유일한 사례일 정도다. 소액주주연대 등 개인투자자들이 꾸준히 민원을 제기하는 등 극렬한 반대여론을 거래소가 끝내 극복하지 못한 것도 상장이 무산된 큰 원인 중 하나였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한국거래소가 애초에 개인투자자 여론을 의식하는 경향이 큰 데다 불안정한 국내 정치상황이 맞물려 심의 결과에 영향을 준 것 같다"며 "실제 심의 과정에서도 차라리 다음 기회를 노리는 게 어떻냐는 등 자진상폐도 권유했지만 제노스코와 투자자 상장 의지가 워낙 확고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상장이 무산된 제노스코는 당분간 내부 분위기 단속에 집중할 계획이다. 기술특례상장 미승인으로 향후 2년 동안 재도전은 어려운 상황이다. 자금 차입과 추가 투자유치 등 다양한 방안을 구상해 인력 이탈 등을 최소화하는 게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레이저티닙 사용 약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최종 승인을 받는 등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했음에도 한국거래소 예비심사 문턱을 넘지 못한 건 안타까운 일"이라며 "모회사 오스코텍이 제노스코와 별개로 뚜렷한 성과를 만들지 못한 게 투자자 설득에 실패한 가장 큰 원인이 됐다"고 꼬집었다.
제노스코 관계자는 "이번 IPO 무산으로 앞으로 필요한 연구개발비용 조달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며 "그동안 부족하다고 지적 받았던 IR 등을 확대하고 내부 동요를 가라앉히는 등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노스코가 계획한 공모자금은 최대 1000억원이다. 신약 개발과 관련해 대규모 비용 지출이 불가피했고 이는 오스코텍 자기자본(1324억원)의 75.5% 해당하는 규모로 오스코텍 자체지원으로 한계가 뚜렷한 상황이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