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4000억대 유동화증권 구제 퇴로 열려…투자자들 '숨통'[연합뉴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맡은 법원의 중재로 투자자 피해 우려가 컸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을 정상 변제가 가능한 상거래채권으로 인정하기로 회사측과 금융사가 합의하면서 투자자들이 일단 숨통을 트게 됐다. 이 유동화증권은 홈플러스가 쓴 신용카드 대금(카드사에 내야 할 돈)을 토대로 발행한 채권으로,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산 탓에 특히 논란과 파장이 컸다. 유동화증권은 원칙적으로 회생절차에 따라 상환이 유예되는 금융채권이지만, 홈플러스가 정상적으로 변제하겠다고 밝힌 상거래채권의 성격도 갖고 있어 상거래채권 인정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다.
'철수설' 한국GM "전기차 규제 완화" 비공개 압박[서울경제]
한국GM이 정부에 전기차 규제 완화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장벽 영향으로 한국GM이 우리나라에서 생산 시설을 전부 이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전기차 규제가 한국 철수 여부에 또 다른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자동차 업계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이달 6일 한국GM을 비롯해 현대차·기아·벤츠·BMW·토요타 등 9개 자동차 업계와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환경부가 마련한 '저공해차 보급목표제'에 대한 의견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자리였다. 한국GM은 이 자리에서 이 목표제에 대해 "과도한 요구"라며 항의했다고 한다.
'MBK 계열' 롯데카드, 입점업체 줄 돈 최소 200억 묶어[KBS]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채권을 변제받을 수 있을지', '언제 받을 수 있을지'가 채권자들의 최대 관심사다. 이때 상거래 채권인지, 금융채권인지 여부가 쟁점이다. 상거래 채권이면 우선 지급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같은 'MBK 계열사'인 롯데카드가 이 채권 분류를 놓고 얌체 행보를 보이고 있다. 대형마트에서 신용카드 결제는 일상이지만, 그 이면엔 복잡한 정산 과정이 있다. 카드사가 대형마트로, 다시 입점업체로 판매 대금을 주는 구조. 회생 개시 이후 롯데카드는 이 정산을 전면 중단했다. 회생 개시 이후 지금까지 최소 210억 원 이상을 안 주고 있다. 안 그래도 현금이 부족한 홈플러스의 입점업체 정산을 더 힘들게 하고 있다.
고려아연 최윤범, 지난해 연봉 36억…'경영권 분쟁'에도 20% 늘었다[서울경제]
영풍·MBK파트너스 연합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지난해 급여로 36억 원을 받았다. 20일 고려아연이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해 급여 36억 원에 기타 근로소득 1100만 원을 합쳐 총 36억 1100만 원을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았다. 최 회장의 숙부인 최창영·최창근 명예회장은 각각 25억 1200만 원, 25억 200만 원을 받았다. 최 회장 일가가 지난해 받은 보수는 총 86억 원이다. 최 회장의 급여는 전년 대비 20.4% 늘어난 수준이다. 최 회장은 2023년 급여 29억 9200만 원에 기타 근로소득 800만 원을 더해 총 30억 원을 수령했다.
LS증권 김원규 대표, 재선임 확정…주총서 연임안 통과[연합뉴스]
LS증권은 21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제26기 정기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열고 김원규 대표이사 재선임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2019년 LS증권의 전신인 이베스트투자증권 대표로 취임했고, 2022년 한 차례 연임한 바 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지난해 LS그룹에 편입되면서 상호를 LS증권으로 변경했다. 이날 주총에서는 사내이사 선임을 비롯해 제26기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승인,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 등의 안건도 통과됐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1조7400억 적자 '최대'…대출 연체율 6.81%[주요언론]
지난해 전국 새마을금고가 1조7400억원의 최대 적자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대출 연체율은 6.81%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전국 1276곳 새마을금고에 대한 '2024년 영업실적'(잠정)을 21일 발표했다. 지난해 새마을금고의 당기순손실은 1조7392억원이다. 2023년에는 8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지만, 지난해 1조원이 넘는 손실로 전환된 것이다. 이는 손실 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한 대손충당금의 적립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라는 게 행안부의 설명이다. 대손충당금 적립금액은 지난해 말 7조205억원으로 전년 말(5조4558억원)보다 1조5647억원 증가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