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홈플러스신영證 방문한 MBK "채무자 피해 줄 의향 없었다"

[딜사이트 이소영 기자] MBK파트너스가 신영증권을 방문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신청과 관련된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만남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는 과정에서 신영증권에 알리지 않은 채 ABTBS(유동화증권) 발행을 주관하게 했다는 논란 속에 이뤄져 눈길을 끈다.
일부 기관투자자들은 신영증권 측에 형사고발 등 강경대응을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신영증권은 당장 형사고발을 하기 보다 긍정적인 해결책을 찾는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지난 주말 신영증권을 찾아 "홈플러스가 회생 신청할 당시 금융채무자들에게 피해를 줄 의향은 전혀 없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MBK가 홈플러스의 카드대금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ABSTB의 상환 불능 상태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밀리에 만나자는 요청을 했고, 신영증권이 이를 받아들여 만남이 성사됐다.
그동안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유동화증권 발행을 주관, 리테일 창구 역할을 도맡아 개인투자자에게 해당 채권을 팔았다. 하지만 홈플러스가 지난 4일 기업회생 절차에 나서면서 개인투자자 피해는 불가피해졌고, 해당 채권을 발행한 신영증권 역시 불완전판매 창구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현재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한 뒤 ABSTB 원리금 약 4019억원을 상환하지 못한 상황이다.
신영증권은 MBK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신청을 예상했음에도 증권사를 통해 유동화증권 채권 발행을 무리하게 단행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개인투자자에게 피해를 주었다는 입장이다. 반면 MBK는 홈플러스 기업어음(CP) 또는 ABTBS와 같은 증권이 리테일에 판매될지 몰랐다는 입장이다.
MBK의 이 같은 주장과 관련해 신영증권은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회생신청을 하기 직전께 자금 조달한 것에 대해 많은 시장 참가자도 의구심을 갖고 있었다"며 "일부 기관들은 MBK에 강경 대응을 진행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기관투자자들 역시 신영증권에 형사고발 등 MBK를 향해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 전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형사 고소까지 진행하기 전에 사건을 원만하게 해결한다는 게 신영증권의 입장이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형사 고소보다 가능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되길 바라고 있다"며 "이를 위한 최적의 방법을 최우선으로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