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범찬희 기자] 현대로템이 국산 기술로 개발한 열차제어시스템이 상용화 되면서 'K-철도신호' 시대를 열게 됐다.
현대로템은 비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인 대경선(구미역~경산역) 전동차에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이 첫 적용됐다고 16일 밝혔다.
KTCS-2는 국가 연구개발(R&D) 과제인 국내 신호시스템 표준화와 국산화 계획에 따라 개발됐다. 현대로템은 2012년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해당 과제에 철도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코레일과 함께 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이후 6년여 만인 2018년에 KTCS-2 개발과 성능 검증, 제품 인증을 마쳤다.
기존에는 국산화된 철도 신호 기술이 없던 탓에 외산(外産) 신호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하지만 KTCS-2가 도입되면서 국내 철도망의 표준화는 물론, 안전하고 효율적인 철도차량 운행에 기여할 전망이다. KTCS-2가 국내 철도망에 확대 적용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면 'K-철도신호'의 해외 진출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
KTCS-2는 유럽연합의 열차제어시스템(ETCS)의 Level-1, Level-2 모두와 호환된다는 것도 장점이다. 다만 현재 대경선의 지상 신호방식에 따라 Level-1 방식으로 운영된다. Level-1은 선로변에 설치된 발리스(Balise)의 전송 정보를 통한 열차 제어 방식이다. 발리스는 선로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돼 열차의 위치와 제한 속도 등 운행정보와 선로 정보 등을 전송하는 지상 장치다.
Level-2는 ETCS Level-1에 추가로 차상‧지상 설비 간 무선통신을 활용한 열차 연속 제어가 추가된 방식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신호체계 표준화로 보다 쾌적한 철도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국산 신호시스템 운영에 힘쓰겠다"며 "앞으로도 국내 고속철도 인프라 개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