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최령 기자] 위축된 투자심리를 극복하고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확장을 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규제 완화와 자금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한국바이오협회와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주최한 '바이오산업 동향 및 전망 세미나'가 진행됐다.
이날 '2024년 바이오산업 동향 및 2025년 전망'을 주제로 기조발표에 나선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올해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큰 문제는 투자심리 위축이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자금 지원과 바이오산업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바이오벤처들이 신약개발에 더 집중하기 위해 자금 확보는 필수이며 300억~500억원 가량의 소규모 펀드가 조성돼 바이오벤처 분야에 전폭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이 부회장은 이어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들이 상장 당시 조달한 자금을 기술 발전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매출 요건을 맞추기 위한 인수합병(M&A) 등에 쓰는 아이러니한 현상이 발생한다"며 "법차손·매출요건 등 바이오분야 기술특례 상장유지 조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임상 시험의 지연 및 전문인력 수급의 부족 등을 올해 바이오산업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 꼽았으며 인허가를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심사관 고용 확대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식약처의 심사관 고용 확대와 전문성의 신장 역시 행정안전부 등 정부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내년 사업 동향의 긍정적인 부분도 언급했다. 약가 인하 정책을 주장하며 복제의약품인 바이오시밀러‧제네릭 사용 확대를 권장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이다.
이 부회장은 "트럼프 정부는 약가 인하 정책을 선호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바이오시밀러와 제네릭이 새로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며 "기업뿐 아니라 정부의 외교통상적인 부분까지 같이 접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주요국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현황 및 우리의 지원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박봉현 한국바이오협회 과장 역시 정부 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재차 강조했다.
박 과장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시장에서 CDMO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바이오시밀러 우호 정책과 생물보안법 등으로 더 주목받는 상황"이라며 "국산 바이오 원·부자재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바이오의약품산업 특성을 고려한 세제 지원 확대 등 국내기업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그는 과열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중국·인도 등 후발주자들과 저가경쟁을 펼치고 있는 탓이다.
박 과장은 "지금까지는 국내기업들이 높은 기술력과 품질로 경쟁 우위에 있었지만 신흥국들의 기술력이 높아질 것을 감안하면 매출원가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의 세제 지원 혜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