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김현진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9월 빅컷 단행에 이어 이달 연속으로 금리를 내리면서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연준은 최근 기준금리를 기존 4.75~5.0%에서 4.50~4.75%로 0.25%p(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한국(3.25%)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50%p로 줄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28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달 38개월 만에 금리를 인하한 데 이어 추가로 금리를 내릴지 주목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물가상승률 둔화와 내수 부진 등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통화정책 기조도 조정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이유에서다.
부동산업계는 과거 금리인하 시기와는 다른 양상으로 시장이 전개될 것이란 전망이다. 서울 아파트값이 강남3구와 마포, 용산, 성동 지역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비주거용 부동산도 입지가 좋은 곳 중심으로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가계대출 관리 기조를 이어가면서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에서 자유로운 비주거용 부동산으로 실수요 및 투자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2025년부터 팹(반도체 생산시설) 착공에 들어가는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서 가깝고 구간별 공사에 들어간 복선전철 수혜 지역으로 꼽히는 용인과 수원, 화성 등이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현대엔지니어링이 경기도 용인 영덕동에 조성하는 지식산업센터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견본주택에는 최근 분양승인 이후 계약 상담이 이어지는 분위기라는 설명이다.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는 지상 최대 33층, 5개 동 규모의 건물로 연면적만 약 35만㎡에 달한다.
분양 관계자는 "금리인하 시기에도 입지에 따른 지식산업센터의 양극화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며 "1군 건설사가 좋은 입지에서 대규모로 조성하는 단지가 우선 선호 순위에 꼽히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