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신지하 기자] 김양섭 SK텔레콤 최고재무관리자(CFO)가 "지난 3년간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했다"며 "이제는 AI를 통해 돈을 버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6일 김 CFO는 올해 3분기 실적발표 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AI에 선택과 집중해 토털 AI 기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가 제시한 AI 수익화 영역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DC) ▲AI 기업간거래(B2B) ▲AI 기업과소비자간거래(B2C) 등 크게 세 가지다. 특히 AIDC 분야의 매출 실현이 가장 앞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 AIDC 시장은 AI 촉발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AI로 돈을 버는 방법 가운데 AIDC가 가장 단기 매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우선 SK텔레콤은 효율적인 AIDC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SK그룹의 액침냉각 등 기술을 활용해 전력 소비와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분당 데이터센터 등에서 관련 기술검증(PoC)를 진행 중이다. 다음 달에는 가산 데이터센터에서 준비 중인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AIDC를 개소하고, 연내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 'GPUaaS'를 출시할 방침이다.
이어 배재준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전략담당은 "내달 미국 람다와 함께 아시아태평양에서는 최초로 AIDC를 오픈할 예정"이라며 "3년 내 수천대 이상의 GPU를 배치하고, 고밀도 GPU 서버 운영에 최적화한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AI 매출 가시화 측면에서 AIDC는 AI 밸류체인 3대 영역에서 가장 빠른 매출 성장이 예측된다"며 "GPUaaS 사업이 그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SK텔레콤은 국내 유일의 AIDC 테스트베드도 다음 달 판교에서 문을 열 예정이다. 새롭게 선보일 AIDC 테스트베드는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포함한 첨단 AI 반도체와 차세대 액체냉각 솔루션 등 SK그룹과 파트너사가 보유한 다양한 솔루션이 결집된 곳이다. 회사는 중장기 전략 차원에서 전국을 연결하는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선도적으로 구축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SK텔레콤은 AI B2B·B2C 분야에서도 수익 모델 구축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김 CFO는 "AI B2B의 경우엔 시장성과 성장성이 높은 엔터프라이즈향의 AI 솔루션을 판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앤트로픽, 오픈AI와 같은 빅테크와의 협력 외에도 자체 개발한 LLM인 '에이닷엑스'의 중요도가 올라가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으로 엔터프라이즈 사업을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AI B2C 수익화 방안에 대해서는 "B2C 서비스 시장은 그동안 광고 수익모델(BM)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사업자들이 주도해왔다"면서도 "최근 각광받는 AI 서비스 구축을 위한 인프라 비용은 광고만으로 충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구독 모델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표적인 구독 모델을 보유한 통신사에는 새로운 기화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구독 마케팅 플랫폼 'T우주'를 운영 중이다. 지난해 T우주 등 구독 상품의 총 판매액은 1조3000억원에 달한다. T우주 가입자는 지난해 말 기준 230만명이다. AI 개인비서 서비스 '에이닷' 누적 가입자 수는 지난 9월 말 기준 55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달에는 T전화에 에이닷을 접목한 '에이닷 전화'와 에이닷의 PC 버전 '멀티 LLM 에이전트'를 선보이는 등 AI B2C 역량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이날 김 CFO는 지난 9월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서 SK텔레콤이 제외된 것과 관련해 "우리를 비롯한 어떤 통신사도 포함되지 못했지만 지속적인 기업가치 제고 노력과 시장과의 소통 등으로 향후에 지수에 편일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