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신지하 기자] KT가 통신 네트워크 관리 업무와 인력을 신설 자회사로 이동시키는 구조조정안이 전출 신청 저조로 난항을 겪는 모양새다. 당초 목표치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접수 기간 연장 등 인력 이동을 독려하고 나섰지만 이번엔 '압박용'이라는 노조의 거센 반발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31일 KT의 제2노조인 KT새노조는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 KT이스트 사옥 앞에서 'KT 구조조정 전출 강요 사례 폭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미영 KT새노조 위원장은 "당초 전출 마감일은 28일이었지만 전출 신청이 저조하자 사측은 이를 다음 달 4일로 연장했다"며 "연장 이유를 공개하지 않는데 이는 본사에서 나가지 않겠다는 대상자들이 많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제는 부사장들까지 나서서 설명회를 진행하는 등 전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KT 소속 부사장들이 설명회에서 '상상할 수 없는 시간을 보내야 할 것', '자괴감이 들고 힘들게 할 것', '스트레스를 버티는 게 쉽지 않을 것' 등의 협박성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KT의 이러한 부당 행위를 폭로하고, KT 경영진의 강업적인 행태를 공개적으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번 구조조정과 관련해 김영섭 KT 대표는 지난 25일 진행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강압적이고 임의적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며 "합리적인 구조조정은 늘상 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또 당시 전출 신청 상황이 800여명에 불과해 향후 강압적 구조조정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방금 보고를 받았는데 그보다는 훨씬 더 많은 인원이 신청했다"고 말했다.
앞서 KT는 지난 15일 이사회에서 선로 통신시설 설계를 담당하는 KT OSP와 국사 내 전원시설·무선통신 운용을 맡는 KT P&M이라는 2개의 자회사 설립을 결정했다. 전체 인력 5700명 중 3700명을 신설 자회사로 전출시키고, 이를 원치 않는 직원에게는 특별 희망퇴직을 받기로 했다. KT가 이번에 예정했던 마감 기한을 일주일 연장한 것은 전출 희망자를 추가 확보하겠다는 방침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KT는 다음 달 4일로 예정된 희망퇴직 마감일에 맞춰 전출 신청 기간을 더 늘렸다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희망퇴직과 전출을 두고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전출 신청 마감일을 희망퇴직 신청 마감일까지 연장한 것"이라며 "조금 더 생각할 여유를 제공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출과 희망퇴직 신청이 얼마나 접수됐는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접수 수치를) 공식적으로 확인해주기 어렵다"면서도 "처음부터 (전출) 목표치도 설정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