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모음]
美 연준, 기준금리 0.5%p 내려 外
이 기사는 2024년 09월 19일 09시 01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美 연준, 기준금리 0.5%p 내려 4.75~5%로 [주요매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년6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연준은 18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5.25∼5.5%에서 4.75∼5%로 0.5%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폭 인하를 의미하는 '빅컷'이었다. 기존 2%포인트차로 역대 최대였던 한국(3.5%)과 미국(5.25∼5.5%)의 금리 격차도 1.5%포인트로 줄어들었다. 연준의 금리 인하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대응을 위해 긴급히 금리를 낮췄던 2020년 3월 이후 4년 반 만에 이뤄진 것이다. 연준은 또 함께 발표한 점도표에서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종전의 5.1%에서 4.4%로 낮췄다. 이는 연내에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연준은 팬데믹 부양책과 공급망 교란 등 충격 여파로 물가가 치솟자 이에 대응하기 작년 7월까지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로 높인 뒤 8회 연속 동결하며 이를 유지해왔다.


삼성 한종희 "'원삼성' 다음은 '강한 성장'" [주요매체]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은 최근 수원 본사에서 열린 'DX 커넥트' 행사에서 "그동안 '원 삼성'(One Samsung)의 기틀을 다지고 사업간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우리의 다음 타깃은 '강한 성장'"이라고 강조했다. '강한 삼성'을 위한 전략으론 메드텍, 로봇, 전장, 친환경 공조 솔루션 등 4가지 핵심 영역을 공개하고 차세대 신성장 사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겠다고 한 부회장은 강조했다. 한 부회장은 'AI 컴퍼니'로 전환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외부 AI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디바이스 사업 외에 서비스와 기업간거래(B2B) 사업도 확대하려 한다. 


MBK파트너스 "고려아연 중국에 매각 않겠다" [연합뉴스]

영풍과 함께 고려아연 공개매수를 진행 중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인수 이후에도 고려아연을 중국에 매각하지 않겠다고 확언했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18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국가기간산업인 고려아연을 중국에 팔 수도 없고, 팔지도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고려아연은 아연·연·은·인듐 등 비철금속 제련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1위 위상을 지닌 업체로, 최근 친환경 에너지·소재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국내 자동차·배터리 등 첨단산업의 핵심 공급망을 담당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사모펀드가 기업을 인수하면 핵심 자산을 빼앗기게 된다'는 울산 정치권의 우려에 대해 "전혀 그럴 일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경남 창원에 있는 두산공작기계(현 DN솔루션즈)를 인수한 적 있지만 지금 울산시에서 걱정하는 일들은 하나도 벌어지지 않았다"면서 "오히려 인수할 때 세계 6위권이었던 회사를 팔 때는 3위 안에 올려놨다"고 강조했다.


비닐백·젓가락까지 본사 구입 강제…공정위, 60계치킨 제재착수 [주요매체]

600여개 가맹점을 상대로 나무젓가락과 비닐 쇼핑백의 본사 구입을 강제하는 등 '갑질'을 벌인 60계 치킨 가맹본부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공정위는 최근 장스푸드의 가맹사업법 위반 행위에 대해 제재 의견을 담은 심사보고서(검찰의 공소장 격)를 발송했다. 60계 치킨 가맹본부인 장스치킨은 2020년 6월부터 지금까지 가맹점주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나무젓가락과 비닐쇼핑백 등 물품들을 '필수 품목'으로 정하고, 본부에서 구입하도록 강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60계 치킨의 가맹점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661개에 달한다. 공정위는 장스푸드가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을 통해 부당한 이득을 챙겼다고 보고 제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는 조만간 심의를 열고 제재 여부와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10대그룹 오너가 지분율 10년 새 '뚝' [주요매체]

총수가 있는 10대 그룹의 오너 일가족이 보유한 계열사 지분율이 최근 10년 사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재벌닷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자산 순위 10대 그룹의 총수 및 친족을 합친 오너 일가족의 전체 계열사 지분율(총자본금 대비 기준)은 2013년 말 평균 3.93%에서 지난해 말 3.38%로 0.55%포인트 낮아졌다. 이 기간 총수 지분율은 평균 1.55%에서 1.39%로 0.16%포인트 하락했다. 친족 지분율은 2.39%에서 2.00%로 0.39%포인트 낮아지는 등 감소폭이 더 컸다. 경영 상속이 마무리된 그룹 대부분이 오너 일가족의 지분율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예를 들어 삼성그룹 오너 일가족 지분율은 2013년 1.25%였으나 상속을 마친 뒤인 지난해 말 1.02%로 0.23%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이건희 전 회장 타계 후 계열사 지분 상속 과정에서 일부 가족이 지분을 처분한 탓으로 풀이된다. 사업 확장에 따른 자본금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총수만 놓고 보면 이재용 회장 지분율은 지난해 말 0.56%로, 2013년 이건희 전 회장의 지분율 0.69%보다 0.13%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 1호 신디케이트론 나온다…남양주 브릿지론 사업장 [주요매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을 위한 저축은행업권의 1호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이 실행될 예정이다. 우리금융저축은행 등 저축은행과 캐피탈사는 최근 경·공매에서 수의계약으로 낙찰된 남양주 브릿지론 사업장에 대해 지난 11일 우리은행에 신디케이트론을 신청했다. 신디케이트론은 경·공매를 진행하는 PF 사업장에 대한 경락자금대출, 부실채권(NPL) 매입 지원, 일시적 유동성 지원 등 역할을 한다. 저축은행 사업장으로는 첫 신디케이트론으로 낙찰가액은 975억원으로 알려졌다. 이중 저축은행이 890억원, 캐피탈이 50억원 등을 차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이 사업장의 감정평가액은 1830억원이었고, 여신총액은 1240억원이었다. 해당 사업장은 6월 말 기준 강화된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B'(보통)로 분류됐지만, 지난 7월부터 연체가 발생했고 이달 1회차 공매가 시작되면서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조건 미달 등 사유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모음 4,307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