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정동진 기자]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예년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해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고, 금융사 자체 리스크 관리 역량을 제고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5일 금감원에 따르면 금융권의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2023년 말 기준 57조6000억원으로, 2023년 9월보다 1조2000억원 늘었다. 이는 금융권 총 자산(6859조원)의 0.8%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보험 31조3000억원(54.4%), 은행 11조6000억원(20.2%), 증권 8조8000억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순이었다. 총 자산 대비로는 보험이 2.6%, 증권이 1.3%, 상호금융이 0.5% 순으로 많았다.

투자 지역 중에서는 북미가 34조8000억원으로 전체 60.3%에 달했다. 이어 유럽이 11조5000억원(20%)으로 뒤를 이었다. 아시아가 4조2000억원(7.3%)로 3위, 기타 지역이 7조2000억원(12.4%)이었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자산은 10조6000억원으로, 전체 18.3%에 해당한다. 2026년과 2028년 만기 도래분은 각각 16조5000억원(18.3%), 12조6000억원(22%)이다. 2030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은 누적 44조8000억원(78%)에 달했다.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한 사업장 증가세는 다소 둔화됐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부동산 사업장의 EOD 발생 규모는 2023년 2분기 1조3300억원에서 3분기 2조3100억원으로 약 9800억원 늘었으나, 4분기에는 2조4000억원으로 1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금감원은 이날 발표를 통해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확대 영향으로 국내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금액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각 금융사들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해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것"이라며 "아울러 만기도래 자산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체투자 프로세스를 점검해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하는 등 금융회사 자체 리스크 관리 역량을 제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