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유범종 차장] 밤늦게 주문한 식품이 다음날 새벽이면 집 앞까지 배송되는 시대. 쿠팡과 SSG닷컴 등 온라인쇼핑몰의 등장은 장보기의 혁신을 가져왔다. 소비자들은 이제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장을 보고 빠르게 식품을 받아볼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혁신의 이면에는 신선한 식품을 구하기 힘든 이른바 '식품사막' 지역이 늘고 있다. 식품사막이란 1990년대 스코틀랜드에서 파생된 용어다. 당시 영국 도심과 교외에 있던 식료품점들이 도산하자 교통 환경이 열악한 빈민층들이 신선한 식품을 구하기 어려워진 현상에서 비롯됐다.
최근 국내에서도 식품사막 현상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온라인쇼핑몰들이 급격히 성장했지만 그들의 배송서비스는 전국 모든 지역에 닿지 않는다. 주로 수도권과 지방대도시 등만이 혁신적인 배송서비스의 혜택을 받고 있으며 소도시와 인구밀도가 현저히 낮은 소멸위험지역 등은 철저히 배제됐다. 아울러 온라인쇼핑에 친숙하지 않은 고령의 소비자들 역시 혁신적인 배송서비스의 수혜와는 거리가 멀다.
온라인쇼핑몰의 성장은 나아가 전통적으로 지방 각지에 뿌리를 내렸던 대형마트와 슈퍼의 소멸로도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쇼핑몰과의 경쟁에서 밀리며 돈이 되지 않는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들을 중심으로 잇따라 폐점에 들어간 것이다. 실제 작년 말 기준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국내 대형마트 3사의 전국 점포 수는 396개에 그쳤다. 지난 10년간 늘어나기는커녕 오히려 처음으로 400개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들의 씁쓸한 철수는 결국 지방의 식품소비 사각지대가 확대되는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식품사막 현상이 더 확산되면 지역간 불균형 발전은 물론 아예 소멸되는 지역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결국 이러한 현상을 막으려면 대형마트를 소유한 유통대기업들을 지방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
현재 대형마트 출점과 관련된 법을 보면 상당히 빡빡하다. 2012년 개정된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르면 대형마트는 3000㎡가 넘는 대규모 점포와 준대규모 점포가 출점할 경우 상권영향평가서와 지역협력계획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또한 전통상업보존구역에서의 출점은 제한하고 있다.
정부가 나서서 이들을 옥좼던 법들을 재정비하고 오히려 혜택을 주는 정책을 만들어 힘을 보태야 한다. 식품사막은 이제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머리를 맞대 상생의 해결책을 찾는 작업을 더는 미루지 말아야 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