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조은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은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시선을 완전히 바꿔놓으며 업계 전반에 커다란 기대감을 불어넣고 있다. 지난 3일 새 정부 리더십을 맞이한 게임업계는 그 어느 때보다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게임은 문화"라는 일관된 기조를 내세우며, 산업 진흥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왔다.
특히 이 대통령의 과거 성남시장 재직 시절 판교 테크노밸리에 수많은 정보통신(IT) 기업들을 유치하며 성공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했던 경험은 게임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새 정부의 의지에 더욱 무게를 싣고 있다. 시장은 이재명 정부의 출범이 한국 게임산업에 어떤 실질적인 활력을 불어넣을지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이 대통령은 불필요한 규제 완화, '게임=문화산업' 인식 전환, 그리고 세계보건기구(WHO)의 게임 중독 질병 코드 지정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e스포츠 진흥에 대한 깊은 관심은 단순한 약속을 넘어 실제 예산과 사업으로 이어져, 한국이 명실상부한 e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인다. 이는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스포츠와 문화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인정하는 중요한 변화다.
국내 게임 산업은 이미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콘텐츠 수출 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23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4% 성장했다. 또한, 2024년에는 25조1899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될 만큼 K-POP과 드라마를 잇는 K-콘텐츠의 한 축으로서 게임의 위상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산업이 커지는 동안에도, 게임을 둘러싼 제도와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낡은 프레임에 갇혀 있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사행성 논란에 발목 잡힌 P2E(Play to Earn) 게임 국내 서비스, 확률형 아이템 규제 등은 업계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혁신을 가로막는 대표적인 낡은 족쇄로 지적돼 왔다.
이제 이재명 정부는 '게임은 문화'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말이 아닌 '실행'으로 그 약속을 증명해야 할 때다.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공허한 외침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예산 배정, 시대에 뒤떨어진 법률의 개정, 그리고 현실적인 사업 추진으로 이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P2E 게임에 대한 명확하고 합리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은 물론 국내 게임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 혜택이나 투자 지원, e스포츠 전문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등이 시급한 과제다. 이는 '낡은 것'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만 가능한 일이다.
게임 산업은 기술 발전과 함께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지닌 분야다. 이재명 정부가 '게임은 문화'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낡은 제도를 과감히 혁파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정책을 마련하는 실천으로 이어진다면, 한국 게임 산업은 진정한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얼마나 역동적인 변화를 맞이할 지, 업계와 이용자들의 기대와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