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유범종, 최광석, 최령, 방태식 기자] GC녹십자와 한미약품은 공동 개발 중인 파브리병 치료제 'LA-GLA(코드명 : GC1134A/HM15421)에 대한 국내 환자 투여가 성공적으로 완료됐다고 16일 밝혔다. GC녹십자와 한미약품은 LA-GLA의 글로벌 임상을 위해 미국, 한국에서 1/2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고 다국가 임상을 진행 중이다. 또 지난달 21일 아르헨티나에서 임상 1/2상 IND 승인을 받아 파브리병을 진단받은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이번 1/2상은 미국 LDRTC(Lysosomal and Rare Disorders Research and Treatment Center)를 포함한 6개 기관과 한국 양산 부산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아르헨티나 2개 기관 등 총 10개 기관에서 실시된다. 스크리닝을 통해 임상 시험 참여 적합성이 확인된 환자는 4주에 1회 LA-GLA를 피하 투여받는다. LA-GLA는 기존 치료제들의 한계점을 개선한 '차세대 지속형 효소대체요법 치료제'로 주목 받고 있다. 또 월 1회 피하 주사 요법으로 편의성을 대폭 개선했으며 기존 치료제 대비 신장기능, 혈관병, 말초신경 장애 개선 등 우수한 효능을 비임상 연구로 입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작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올해 1월에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각각 희귀의약품(ODD) 및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대웅제약 "우루사, GLP-1 주사 부작용 '담석' 예방에 주목"

대웅제약은 우루사 300mg이 GLP-1 기반 비만 치료제 사용 후 급격한 체중 감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담석증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16일 밝혔다. 우루사의 주성분 UDCA(우루소데옥시콜산)는 담즙 내 콜레스테롤을 줄이고 흐름을 개선해 담석 생성을 차단한다. 체중 감량 시 담즙 정체로 담석이 잘 생기며, 미국 FDA와 여러 연구에서도 GLP-1 계열 약물이 담낭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해외 임상에 따르면 UDCA 복용군의 담석 발생률은 3%에 불과했고 위약군은 28%에 달했다. 서울대병원 연구에서도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UDCA 투여 시 담석 형성률이 위약군 대비 절반 이하로 낮아졌다. 대웅제약은 우루사가 간 기능 개선을 넘어 체중 감량 후 담석 예방이라는 새로운 시장에서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우루사 300mg은 ▲급격한 체중 감소 후 담석 예방, ▲위암 수술 후 담석 예방, ▲PBC 환자의 간 기능 개선 등에 적응증을 확보하고 있다.
◆동국제약 판시딜·마데카솔,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 파워' 1위 선정

동국제약의 대표 일반의약품 판시딜과 마데카솔이,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관한 '2025년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조사'에서 각각 탈모치료제와 상처치료제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판시딜은 7년 연속, 마데카솔은 4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다시 한번 브랜드 가치를 입증했다. 판시딜은 브랜드파워 지수(K-BPI) 816.6점(1,000점 만점)을 획득해 2위 브랜드와 327점의 큰 격차를 보이며 1위를 차지했다. 특히 66.6%로 높게 나타난 브랜드 최초 인지도는 판시딜의 일반의약품 경구용 탈모치료제 10년 연속 판매 1위(2014년~2023년 IQVIA 데이터 기준) 기록처럼 꾸준한 소비자 인지도가 선호도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마데카솔은 브랜드파워 지수(K-BPI) 732.3점(1000점 만점)을 기록하며 이미지, 구매 가능성, 선호도 등 브랜드 충성도 항목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다. 마데카솔 시리즈의 주성분인 식물유래성분 센텔라정량추출물(TECA)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가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 GUT 저널에 Nexpowder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 게재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이 자사의 내시경용 창상피복재 Nexpowder(넥스파우더)의 임상연구 결과가 소화기학 분야 상위 의학저널 GUT (Impact Factor: 23)에 최근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Prevention of rebleeding after primary haemostasis using haemostatic powder in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a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비정맥성 상부 위장 출혈에서 초기 지혈 후 재출혈 예방을 위한 지혈 파우더 사용: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시험)"로 비정맥류성 상부위장관출혈(NVUGIB) 환자에서 기존 내시경 지혈술 후 넥스파우더를 적용했을 때의 재출혈률 감소 효과를 평가한 대규모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RCT) 결과를 담고 있다. 임상 시험은 국내 3개 대학병원에서 다기관 임상으로 진행됐으며 총 3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내시경 지혈에 성공한 고위험 병변 환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넥스파우더 보조 치료군(173명)과 기존 치료만 시행한 대조군(168명)의 재출혈률을 비교했다. 임상 결과 72시간 내 재출혈률은 넥스파우더 보조 치료군에서 2.9%, 기존 지혈술을 시행한 대조군에서 11.3%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p = 0.005), 30일 누적 재출혈률은 각각 7.0%와 18.8% (p = 0.004)로 나타났다. 특히, 재출혈 고위험군인 궤양 출혈 환자 하위분석에서도 3일내 각각 3.0%와 12.0% (p = 0.004)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며 이는 기존 내시경 지혈술 후 넥스파우더 적용이 재출혈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보여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넥스파우더는 분말 형태의 내시경용 창상피복재로, 내시경을 통해 병변 부위에 점착된 후 겔화되어 물리적인 압박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출혈을 방지 혹은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유비케어-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실무 교육 협력 MOU

유비케어가 대구가톨릭대학교(약학장 민병선) 약학대학 재학생을 위한 약국 실무 교육 지원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MOU는 약국 실무에 익숙하지 않은 약대생들이 실제 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조제기기 등 교육용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비케어의 대표 약국 솔루션인 '유팜'은 처방 조제, 보험 청구, 복약지도 등 약국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청구 관리 프로그램이다. 회사는 '유팜'을 기반으로 ▲약국 전용 신용카드 단말기 'VAN Plus' ▲처방전 자동 입력 솔루션 '2D 바코드' 등 약국 운영에 필요한 전반의 아이템을 통합 제공한다. 이번 협약에 따라 유비케어는 전국 약 6000여 약국에 도입된 약품 자동 조제기 '오토팩'을 제조사 크레템의 협조를 받아 기증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 조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실습 기반이 마련됐다.
◆Dx&Vx-디앤피바이오텍, 조산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업무협약 체결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디앤피바이오텍과 조산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디엑스앤브이엑스가 보유한 국내외 산부인과 등 병의원 네트워크 및 검체 분석 기술과 디앤피바이오텍의 조산 관련 마이크로바이옴 원천 기술을 결합해 국내외 조산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양사가 추진하는 조산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는 산모의 질 마이크로바이옴 변화를 추적해 조산 위험도가 높은 산모에게 조산의 위험성을 미리 알려주고 예방 관리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조산아의 출생 비율이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조산아의 경우 정상아에 비해 발달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여러 질병에 쉽게 노출될 확률이 높다. 전 세계적으로 조산아 비율은 전체 출생아의 약 10%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는 산모의 질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들이 있다. 조산의 위험도가 높은 산모일수록 질 내에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와 같은 유익균의 분포도는 낮은 반면 여러 유해한 혐기성 균들의 분포도가 높다.
◆코어라인소프트, 프랑스 국가조달기관 등록 확정

코어라인소프트가 프랑스의 국가 공공조달기관인 UGAP(Union des Groupements d'Achats Publics)에 자사의 솔루션을 등록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이로써 프랑스 내 모든 공공병원 및 보건기관은 별도의 입찰 절차 없이 UGAP 카탈로그를 통해 코어라인소프트의 제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됐다. UGAP은 프랑스 정부 산하의 공공조달기관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공공병원 등 모든 프랑스 공공기관의 공통 구매를 담당한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은 복잡한 입찰 절차 없이 필요한 제품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공급업체는 공공시장에 효율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코어라인소프트의 이번 UGAP 등록은 프랑스 공공 헬스케어 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특히 프랑스 정부가 AI 기반 의료 솔루션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코어라인소프트의 솔루션은 폐암 검진 등에서 높은 정확도와 효율성을 입증받아 왔다는 설명이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이번 UGAP 등록에 이어 UniHA 등록 절차도 병행 추진 중이며, 프랑스 현지 병원 협회·영상의학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임상 기반 홍보와 공급 확산을 동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일 병원 단위 공급이 아닌, 지역 단위 네트워크 확산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