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이다은 기자] SK하이닉스가 연간 고정배당금을 주당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상향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적정 투자규모를 지키기 위한 '설비투자 원칙'을 담은 밸류업 목표도 발표했다. 회사 성장세에 걸맞은 주주환원과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동시 추진해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누적 잉여현금흐름(FCF)의 50%를 주주환원의 재원으로 한다는 기존 정책은 유지하되, 내년부터 2027년까지 주당 연간 고정배당금을 기존 1200원에서 1500원으로 25% 올린다고 27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고정배당을 높이면서 앞으로 총 현금 배당액이 연간 1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본다"며 "이를 통해 당사가 여러 어려움을 이겨내고 AI 메모리 세계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기까지 성원하고 지지해준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지속적으로 기업가치를 지켜가기 위해 앞으로도 주주환원과 재무 건전성 강화 정책을 균형 있게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순현금 달성'과 '적정현금 확보'라는 구체적인 재무 건전성 목표를 설정했다. 순현금은 현금성 자산에서 차입금을 제외한 것으로 보유 현금이 차입금보다 많은 상태를 말하며, 적정현금은 미래 성장 투자를 준비하기 위한 연간 투자 재원을 뜻한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정책에서 지급하던 연간 FCF의 5%는 재무구조 강화에 우선 활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3년간의 주주환원 정책이 마무리되는 2027년까지 이 목표를 달성하면,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추가 환원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경영실적 호조로 유의미하게 FCF가 높아진다면 회사는 정책 만료 이전에라도 조기환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이날 SK하이닉스는 기업가치를 한 단계 더 성장시키기 위한 밸류업 계획도 발표했다. SK하이닉스는 우선 연간 투자 규모를 매출액 대비 평균 30%대 중반 수준으로 구체화하는 '설비투자 원칙'을 설정했다. 이로써 미래 불확실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고객 요구가 다양해지고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이 커지는 흐름에 맞춰 AI 메모리 시장 리더십을 한층 더 공고히 할 방침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다운턴을 슬기롭게 이겨내고 올해는 2018년 초호황기를 뛰어넘는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되는 가운데 당사 기업가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이러한 시점에 맞춰 회사의 성장세에 걸맞은 주주환원과 함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지켜가기 위한 정책을 실행하여 주주 여러분과 함께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