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이성희 기자] 우리금융지주가 임종룡 회장 취임 후 이사회 내 소위원회로 운영된 '내부통제관리위원회'를 없앤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권에서는 경영진 견제 역할을 하는 내부통제관리위원회를 없애면서 결국 빈번한 금융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지난 2020년 금융지주사 최초로 내부통제관리위원회를 신설했지만 2023년 이 조직을 감사위원회로 통폐합시키며 3년 만에 폐지했다. 당시 우리금융은 내부통제관리위원회 신설을 통해 내부통제기준 유효성 검증과 개선방안 모색, 실효적 내부통제기준 등을 제안토록 했다.
우리금융이 내부통제관리위원회를 만든 이유는 2019년 독일 금리 연계 DLF(파생결합펀드) 사태를 계기로 금융당국의 지적사항이던 내부통제 미비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였다. 당시 금감원은 금융회사 이사회가 내부통제에 대한 최종 책임을 지고 내부통제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부통제관리위원회에 소속된 이사는 당시 박상용 사외이사와 김홍태 사외이사, 사내이사였던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이었다. 우리금융 지배구조 내부규범 개정안에 내부통제관리위원회 위원을 대표이사를 포함한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한다고 명시했고, 위원장은 이사회 결의로 사외이사 위원 중 선임키로 한 데 따른 인선이었다.
내부통제관리위원회가 3년 만에 감사위원회로 통합된 데는 2023년 지주 회장으로 부임한 임종룡 회장의 뜻이 반영됐다는 게 우리금융의 설명이다. 2022년 700억원대 횡령사고를 겪으면서 우리금융그룹의 내부통제체제를 개편한 것이다.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사태로 분리됐던 내부통제관리위원회 기능을 다시 감사위원회와 합치는 대신 감사위원 수를 늘리고 이사회 내부통제활동 보고 횟수도 늘리는 방안을 택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2022년 대규모 횡령사고가 벌어지면서 그룹 내부통제 체제 개편이 있었다"며 "또 사외이사들이 여러 소위원회를 겸직하고 있다보니 유사한 기능을 하는 소위원회를 통합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목할 부분은 이사회 조직을 정비했지만 대규모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금융권 일각에서는 소이사회를 통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독립적인 소이사회를 존속시키면서 인원과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비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우리금융 내부통제관리위원회 소속 위원 중 손태승 전 회장이 포함됐다. 여기에 2021년부터 이원덕 전 우리은행장도 합류하며 위원회의 독립성이 상당히 훼손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이 발생한 기간(2020년 4월3일부터 2024년 1월16일까지)은 손 전 회장이 내부통제관리위원으로 활동한 시기이기도 하다.
한편 우리은행은 내년 주주총회 전까지 이사회 내 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할 예정이다. 지주에서 효용성 차원에서 통합했던 내부통제위원회가 은행에서 부활하는 셈이다. 이는 금융권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책무구조도 시행에 따른 조치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사회 내 내부통제위원회 설치는 경영진 뿐만 아니라 이들을 견제하고 관리, 감독할 의무가 있는 이사회에도 내부통제 책임을 부여하기 위한 조치"라며 "우리금융은 있던 내부통제관리위원회도 통합의 이유로 없애면서 오히려 내부통제 시스템에 구멍을 낸 것이나 다름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