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박성민 기자] 메가박스의 실적 부진과 무리한 투자 비용 때문에 모회사인 콘텐트리중앙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박스의 부족한 자금을 이 회사가 필요시마다 빌려주고 있는 데다 현물출자에도 나섰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콘텐트리중앙이 그간 M&A(인수·합병)와 신사업 확대로 현금성자산이 메마른 만큼 메가박스의 실적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콘텐트리중앙의 유동성 부담이 심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콘텐트리중앙은 중앙홀딩스그룹의 중간 지주사로 ▲SLL중앙(영화 콘텐트 제작 및 유통) HLL중앙(매거진 및 커머스 플랫폼) ▲메가박스중앙(멀티플렉스 영화관)을 거느리고 있다. 아울러 메가박스중앙은 플레이타임그룹(키즈 실내 놀이터)의 지분 100%를 들고 있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메가박스가 팬데믹 동안 실적에 직격탄을 맞았던 까닭에 모회사 콘텐트리중앙이 지속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단 점이다. 실제 메가박스의 매출액은 2019년 3328억원에서 ▲2020년 1045억원 ▲2021년 1040억원 ▲2022년 2173억원으로 줄었다. 이 기간 누적 영업손실은 1444억원, 순손실은 1267억원에 달했다.
순손실 규모가 크다 보니 메가박스는 영업활동으로 현금을 창출하지도 못했다. 메가박스의 순영업활동현금흐름(NCF)은 2020년 마이너스(-) 384억원으로 음수 전환했으며 2021년에도 -219억원으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문제는 메가박스가 실적을 개선하기 위해 직영점을 늘리고, 복합몰 같은 핵심 거점 중심의 지점 전략을 내세워 자본적지출(CAPEX)이 지속됐단 점이다. 2020년만봐도 자본적지출은 786억원에 달했고 2021년과 2022년에도 각각 234억원, 456억원을 썼다. 벌어들이는 돈 없이 지출이 증가하다 보니 메가박스는 외부에서 자금 조달을 늘릴 수밖에 없었고, 이런 이유로 총 차입금 역시 같은 기간 6528억원→6281억원→6897억원 순으로 늘었다. 아울러 이 기간 이자비용으로도 592억원을 지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모회사 콘텐트리중앙의 전방위적 지원도 이어졌다. 이 회사는 앞서 2022년 3차례에 걸쳐 580억원의 자금을 대여해 줬으며, 올 4월에는 플레이타임그룹을 메가박스에 현물출자하기도 했다. 또한 메가박스의 신종자본대출과 사모사채 발행 건에 대해 자금 보충 및 조건부 채무 인수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콘텐트리중앙의 자금 상황도 좋지 않은 상태다. 올 6월말 기준 이 회사의 개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292억원에 불과했으며, 유동비율은 48.8%로 시장에서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100%를 하회했다. 지난해 플레이타임그룹 인수(1250억원)와 HLL중앙 출자(540억원)에 대규모 자금을 썼기 때문이다.
이에 시장에선 메가박스의 실적 개선이 쉽잖은 만큼 콘텐트리중앙의 자금 부담이 심화될 수도 있단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시장 한 관계자는 "4분기에도 대형 흥행작이 등장하고 있지 않아 영화 관련 매출이 감소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렇게 되면 매점과 광고 부분 실적도 하락, 전체 실적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메가박스의 투자가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실적으론 모회사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콘텐트리중앙이 사채 발행으로 회사채를 차환하고 있는 점도 고려하면 이 회사의 자금부담이 심화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콘텐트리중앙 관계자는 "일반적인 운영자금 유통을 위해 그룹 내 자금을 대여·차입 하는 것일 뿐"이라며 "콘텐트리중앙은 현재 보유 시재에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계열사들의 경영정상화를 통해 영업으로 인한 현금이 유입되면 자연스레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